전란·화마 속 630여년 보존된 보물 기증

전란·화마 속 630여년 보존된 보물 기증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23-03-08 03:02
업데이트 2023-03-08 03: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릉 최씨 ‘최유련 개국공신녹권’
서울역사박물관 이달 일반 공개
6·25때 항아리 넣어 땅에 묻기도

이미지 확대
1998년 보물 제1282호로 지정된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1998년 보물 제1282호로 지정된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
서울역사박물관 제공
전란과 화마를 견디며 630여년간 보존된 조선왕조 개국 공신의 녹권이 시민들에게 공개된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강릉 최씨 대경공(흔봉)파 재경종친회가 기증한 ‘최유련 개국원종공신녹권’을 이달 전시할 예정이라고 7일 밝혔다.

공신녹권은 공을 세운 신하의 공적과 포상 내용을 적어 특권을 증명하는 상훈 문서다. 1392년 8월에 설치된 공신도감에서 조선왕조 창업에 공을 세운 이들을 개국공신과 개국원종공신으로 선정했다.

강릉 최씨 문중인 최유련은 고려 공민왕 때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를 지냈다. 태조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해 왕조를 창업한 공으로 1395년 개국원종공신에 봉해져 공신녹권을 받았다.

이 공신녹권에는 받는 사람의 이름과 신분, 7회에 걸친 공신들의 공적과 포상 지시·처리 내용, 녹권을 받은 105명의 공신 명단·포상 내역, 녹권 발급에 관여한 담당 관원의 직함·성명·서명 등이 208항에 걸쳐 적혀 있다. 크기는 세로 31㎝, 가로 635㎝로, 닥종이 9장을 붙여 제작했다.

강릉 최씨 문중은 예로부터 이야기로만 전해져 내려온 공신녹권을 1990년대 경기 여주에 사는 종인(宗人) 최덕중씨가 자택에서 보관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최덕중씨의 선조들은 한국전쟁 시기에 공신녹권을 항아리에 넣어 마당에 묻어 두는 등 원형을 보존하기 위해 노력했다. 원문의 훼손이 거의 없이 보존 상태가 양호한 덕분에 희귀 자료로 가치를 인정받아 1998년 보물 제1282호로 지정됐다.

서울역사박물관은 강릉 최씨 종친회와 협의해 지난달 28일 자료를 넘겨받았다. 공신녹권 고화질 사진 파일은 누구나 볼 수 있도록 박물관 홈페이지에 게시돼 있다.
조희선 기자
2023-03-08 20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