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상청-원안위, 고리원전 지진 대비 합동 점검
유국희 원자력안전위원장(왼쪽)과 유희동 기상청장(오른쪽)이 12일 부산 기장군 고리원자력발전소 고리 2호기 지진감시설비를 확인하고 있다. 기상청 제공
지난 12일 찾은 고리원전에서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지진이 발생하면 ‘지반가속도’(지진 때 지반이 움직인 속도)에 따라 단계적 대응을 한다고 밝혔다. 지반가속도가 0.2g(중력가속도, 규모 6.5) 이상이면 ‘원전지진 자동정지 시스템’이 작동해 원자로가 자동으로 멈추고 청색 비상이 발령된다. 2016년 9월 규모 5.8의 경주 지진 이후 발전소별로 6개의 지진 감시설비를 설치하고 발전소 주제어실에서 실시간 감시하는 식으로 표준화했다고 한수원 측은 설명했다.
최근 동해에서 지진이 잇따라 관측되고 있다. 14일 오전 8시 35분에도 강원 동해시 북동쪽 51㎞ 해역에서 규모 3.1의 지진이 발생했다. 한수원은 이날 “현재 가동 중인 발전소는 정상 운전 중이며 원전에 미친 영향은 없다”고 밝혔지만 불안감은 커지고 있다. 국내 원전은 동남권에 몰려 있는데 이 지역에는 양산단층을 비롯해 14개 활성단층이 존재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특히 고리·신고리·월성·신월성 원전은 양산단층과 가까이 있다.
이 때문에 기상청과 원자력안전위원회는 최근 원전 밀집지 중심 국가지진관측망을 대폭 확충하겠다고 했다. 원안위 지진관측소 220개(고리·월성원전 주변 150개, 한빛·한울원전 주변 70개)를 연내 국가지진관측망에 편입하는 방식 등으로 원전 밀집지 관측소를 단시간에 집중적으로 늘리는 게 주요 내용이다. 2027년 지진관측소가 851개로 현재(390개)보다 461개 늘어나면 원전 밀집지 등은 ‘지진 발생 후 최초 관측 시간’이 1.4초로 현재보다 2초 줄어들 전망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지진이 발생했을 때 1~2초는 원전이 안전하게 정지될 수 있는지 없는지를 가르는 시간”이라고 설명했다. 이광훈 한수원 고리원자력본부장도 “1초가 참 귀한 시간”이라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