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출동했던 소방관의 삶
그 골목 못 가… 지역 옮긴 동료도“심폐소생 때 얼굴들 생각나 고통”
2022년 10월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 일대에 핼러윈을 맞아 인파가 몰려 참사가 발생한 가운데 다음날인 30일 새벽 현장에 급파된 119 구급대원들이 희생자 구조 활동을 하고 있다. 경찰은 사고 발생 직후 전담 수사본부를 구성해 이태원 일대 업소들과 관계당국이 안전조치 의무를 다했는지 등 구체적인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다. 연합뉴스
1년 전 참사가 벌어진 이태원 골목에 투입된 서울 중부소방서 소속 권영준(50)씨에게 그날의 기억은 여전히 상처로 남아 있다. 의식 없는 시민들이 거리 곳곳에서 쏟아졌고, 한 명이라도 더 구해 보려 심폐소생술을 하다 보니 온몸이 땀으로 흠뻑 젖었다. 예전보다 우울감이나 죄책감을 덜어 냈다는 권씨는 “앞으로도 그 골목엔 가지 못할 것 같다”고 했다.
쓰러져 가는 이들을 구하지 못했다는 죄책감은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로 남았다. 참사 현장에 투입됐던 소방관 중 근무지를 옮긴 경우도 많다. 권씨는 “남산 방재센터에서 일하던 동료가 참사 이후 전북으로 갔다”며 “출퇴근하면서 이태원을 지나야 하니 근무지를 옮겨서라도 고통을 벗어나고 싶지 않겠느냐”고 했다.
다른 구조 현장에서도 이태원의 아픔은 수시로 떠오르며 가슴을 후벼 판다. 소방관 김모(41)씨는 “구급대원들은 언제나 얼굴을 보면서 심폐소생술을 한다. 그때 구하지 못했던 얼굴들이 떠오를 수밖에 없다”며 “참사와 비슷한 신고가 들어오면 또 어떻게 해야 하나 하는 무력감도 든다”고 말했다. 실제로 오영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소방청에서 받은 자료를 보면 참사 구조활동에 참여한 뒤 트라우마 치료를 받는 소방관은 1316명으로 집계됐다.
참사 현장에 출동하지 않았던 소방관들도 예외는 아니었다. 이들도 곳곳에서 참사의 상흔을 마주했다. 서울에서 근무하는 소방관 윤모(44)씨는 참사 일주일 뒤 출동한 곳에서 스스로 손목을 그은 20대 초반 여성을 구조했다. 윤씨가 “왜 손목을 그었냐”고 묻자 “이태원 참사 때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했는데 그 후론 (공황으로) 힘들어서 숨을 못 쉬겠다”는 답이 돌아왔다.
참사 직후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소방관들의 구조활동 소홀 등을 수사한 데다 트라우마 등으로 적잖은 휴직 소방관들도 나오면서 조직 전체가 한동안 우울증에 빠졌다. 서울의 한 소방관은 “참사 직후 소방관들이 시민들을 구하지 못한 것처럼 범죄자 취급을 당해 화가 나기도 했다”고 토로했다. 윤씨도 “출동했던 직원들이 휴직하거나 아예 일을 그만두는 경우도 있었다”며 “그날의 아픔은 1년이 지난 지금도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2023-10-27 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