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동물 구조 최근 5년간 43.8% 증가
치료·재활 거쳐 자연 방사는 35% 수준
야생동물 출현을 알리는 LED 안내전광판을 운전하는 시민들이 보고 있다. 서울신문 DB
28일 환경부에 따르면 올해 전국에 있는 야생동물구조센터 17곳에서 구조한 야생동물이 2만 408마리(폐사체 포함)로 집계됐다.
이중 7321마리(35.9%)는 치료와 재활을 거쳐 자연으로 다시 돌아갔지만 7601마리(37.2%)는 폐사했고, 406마리는 구조센터에 머무르고 있다. 야생동물구조센터에 입소한 야생동물은 2019년 1만 4188마리, 2020년 1만 5397마리, 2021년 1만 7545마리, 2022년 2만 161마리, 올해 2만 408마리로 최근 5년간 43.8% 증가했다.
올해 구조된 야생동물을 지역별로 보면 경기(3252마리)가 가장 많았고, 충남(2469마리), 서울(1791마리), 부산(1698마리) 등의 순이다. 분류군별로는 조류가 전체 78.0%(1만 5915마리)를 차지했고 포유류가 20.9%(4268마리)가 뒤를 이었다. 파충류(216마리)와 양서류(7마리)도 구조됐다. 사고원인별로는 미아(5280마리), 충돌(4096마리), 교통사고(1768마리), 감염(1431마리), 기아·탈진(742마리) 등의 순이었다. 조류는 부모와 헤어져 둥지에 남겨진 새끼와 유리창에 부딪히거나 조류인플루엔자(AI)에 감염된 새들이 많았다.
특히 겨울철에는 농약에 중독돼 구조센터를 찾는 새가 늘어난다. 지난 18일 농약에 중독된 독수리(6마리)를 충남야생동물구조센터가 구조했다. 최근 5년간 고의로 살포한 것으로 추정되는 농약에 죽은 야생조류가 2093마리에 달했다.
교통사고 피해는 대부분 포유류에 집중됐다. 멸종위기종은 2019년 1076마리, 2020년 1205마리, 2021년 1277마리, 2022년 1202마리, 올해 1192마리로 집계됐다.
안세창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투명창과 방음벽, 수로 등 인공구조물로 인한 야생동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충돌·추락 피해 예방 시설을 설치하고 있다”며 “구조센터 확대로 야생동물 보호를 강화하고 서식 환경 개선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