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후폭풍…4년 뒤 어린이집·유치원, 3분의 1이 사라진다

저출산 후폭풍…4년 뒤 어린이집·유치원, 3분의 1이 사라진다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4-01-30 15:21
업데이트 2024-01-30 15: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의 한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수업을 받고 있다.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제공
인천시 옹진군 백령면의 한 어린이집에서 아이들이 수업을 받고 있다.
한국보건복지인재원 제공
저출산의 영향으로 4년 뒤인 2028년 전국의 어린이집·유치원이 3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 것이란 예측이 나왔다. 어린이집·유치원 폐원이 인구 유출과 지역 소멸로 이어질 수 있어 대책을 세워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30일 육아정책연구소가 공개한 ‘저출생시대 어린이집·유치원 인프라 공급 진단’ 보고서에 따르면 이미 전국의 어린이집은 2018년 3만 9171곳에서 2022년 3만 923곳으로 21.1% 감소했다. 이 기간 유치원도 9021곳에서 8562곳으로 5.1% 줄었다.

2018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98명으로 떨어져 1명 선이 깨지면서 어린이집·유치원 감소세가 가팔라지고 있다. 2022년 합계출산율은 0.78명을 기록했다.

연구진은 이런 추세가 계속될 경우 2022년 3만9053곳이던 어린이집과 유치원의 수가 2028년 2만6637곳으로 31.8%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원생 수가 줄면서 무려 1만 2416곳 어린이집·유치원이 문을 닫게 되는 것이다. 감소율은 부산(39.4%), 서울(37.3%), 대구(37.3%), 울산(34.4%), 인천(34.0%) 순으로 컸다. 어린이집·유치원이 많이 몰린 대도시일수록 타격을 크게 받았다. 기관 감소 규모가 가장 클 것으로 예측되는 시도는 경기도다. 3321개 어린이집·유치원이 문을 닫을 것으로 예측됐다. 서울에서도 2028개 기관이 사라진다.

보고서를 작성한 이재희 연구위원은 “정원충족률이 낮은데도 문을 연 어린이집·유치원이 많아 앞으로 기관 폐원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이럴 경우 인구가 부족한 지역부터 어린이집·유치원이 없어지고, 해당 지역 인프라가 급격히 무너지면서 인구 유출이 더욱 가팔라질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어린이집·유치원 폐원이 지역 소멸로도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그는 “거주 지역에 최소한의 어린이집과 유치원 인프라가 유지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현정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