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릉 특산품 명이나물. 1882년 섬 개척령으로 이주해 온 주민들이 눈 속에서 찾아내 양식으로 삼아 생명을 이었다는 이야기에서 전래된 것에서 이름 붙여졌다고 전해진다. 울릉농업기술센터 제공
명이나물(산마늘) 등 울릉도 특산 산나물들이 육지에서 대량 재배되면서 갈수록 경쟁력을 잃어가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경북 울릉군 등에 따르면 울릉지역의 봄철 주요 향토 산나물인 미역취(취나물)가 전남 고흥군과 경남 하동군에서, 눈개승마(삼나물)가 강원도 영월에서 특화작물로 자리 잡았다. 특히 고흥군은 2015년 ‘고흥 취나물’을 특허청 지리적 표시 단체표장에 등록했다.
울릉도 야생 산나물의 ‘마지막 자존심’으로 고소득 작목인 명이나물도 충북 충주를 비롯해 강원 홍천·평창·인제, 경북 상주·영주·예천, 경남 산청 등 전국으로 재배 지역이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뛰어난 맛과 향으로 고가에 판매되는 명이나물은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육지에서 거의 재배되지 않았으나 이후 섬에서 뿌리와 씨앗이 육지로 대거 밀반출됐다. 울릉군이 지역 산림조합, 경찰서, 해경 등과 대대적인 합동단속을 벌였으나 무용지물이 됐다.
때문에 울릉도 산나물의 가격 하락과 판로 확보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울릉농협은 올해 명이나물 수매 물량(생채)을 지난해보다 3t 줄어든 7t을 수매하기로 했다. 가격도 1만 4000원에서 1만 2000원으로 낮추기로 했다. 지난해 수매한 명이나물 재고가 창고에 수북히 쌓인 탓이다. 울릉농협은 또 오는 5~6월쯤 지역 농가들이 생산해 말린 취나물과 삼나물도 수매할 예정이지만 판로 확보 문제로 지금까지 물량을 확정하지 못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울릉도에서 산채를 출하하고 있는 350~400개 농가 가운데 상당수도 재고가 쌓인데다 올해 산나물 판로마저 막막해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일부는 폐농위기에 놓인 것으로 알려졌다.
산나물 농장을 운영하는 이모(72·울릉읍 북면)씨는 “울릉도 명이나물은 공급보다 수요가 훨씬 많아 가격이 높을 때는 생채 ㎏당 2만 5000원을 호가했으나 육지에서 대량 재배되면서 반토막났다”면서 “판로마저 막히면서 생계를 걱정해야 될 판”이라고 했다.
울릉군의회 홍성근 의원은 “울릉도 특산 산나물의 전국적인 재배와 값싼 중국산 수입으로 울릉고급 산채가 설 자리를 잃어 가고 있다”면서 “울릉도 지역에서 생산되는 산나물의 우수성 홍보와 판로 차별화 전략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