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전자 분석으로 55년 만에 모녀 상봉
![지난 17일 55년 만에 잃어버린 딸을 찾은 할머니가 포항남부경찰서 직원들과 가족 상봉을 축하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포항남부경찰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23/SSC_20241223130827_O2.jpg.webp)
![지난 17일 55년 만에 잃어버린 딸을 찾은 할머니가 포항남부경찰서 직원들과 가족 상봉을 축하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포항남부경찰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23/SSC_20241223130827_O2.jpg.webp)
지난 17일 55년 만에 잃어버린 딸을 찾은 할머니가 포항남부경찰서 직원들과 가족 상봉을 축하하며 환하게 웃고 있다. 포항남부경찰서 제공.
![서울 강남경찰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23/SSC_20241223130829_O2.jpg.webp)
![서울 강남경찰서 제공](https://img.seoul.co.kr//img/upload/2024/12/23/SSC_20241223130829_O2.jpg.webp)
서울 강남경찰서 제공
가정 형편으로 55년 전 생이별했던 모녀가 경찰의 유전자 분석 도움으로 극적으로 재회해 감동을 주고 있다.
경북 포항남부경찰서는 유전자 감식을 통해 헤어진 모녀의 친자관계를 확인하고 가족 상봉을 주선했다고 22일 밝혔다.
사연은 지난 1968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어머니 A(91)씨는 가정 형편이 어려워 두 살 된 딸 B씨를 지인의 집에 잠시 맡겼다. 그러나 이후 연락이 끊기면서 딸의 소식을 알 수 없게 됐다.
딸을 찾기 위해 A씨는 포항남부경찰서에 유전자 등록을 했고, 때마침 B(57)씨도 2019년 3월 친모를 찾기 위해 서울 강남경찰서에 유전자를 등록했다. 경찰은 두 사람의 유전자 대조를 요청했고, 최근 아동권리보장원으로부터 “친자관계가 성립된다”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의 감정 결과를 통보받았다.
유전자 대조로 모녀임이 확인된 A씨와 B씨는 강남경찰서의 주선으로 한 공간에서 55년 만에 재회했다.
이 자리에서 A씨는 “생전에 딸을 다시 만나게 돼 꿈만 같다. 딸을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준 모든 분께 감사드린다”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 B씨 역시 “가정 형편으로 가족과 연락이 끊겼지만 이렇게 다시 만날 수 있어 감사하다”며 재회의 기쁨을 전했다.
박찬영 포항남부경찰서장은 “성탄절을 앞두고 극적으로 재회한 모녀를 축하한다”며 “앞으로도 유전자 분석을 통해 가족을 그리워하는 실종자 가족들에게 좋은 소식을 전하겠다”고 말했다.
경찰은 2004년부터 실종 당시 18세 이하 아동, 장애인, 치매 환자 등을 찾기 위해 유전자 분석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실종자 유전자는 10년간 보관되며, B씨 역시 2029년 이후에는 찾기 어려웠을 가능성이 있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