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망자 3년 새 1만명 급증
의료비만 4조7000억… 사회가 떠안은 흡연 비용
사망위험, 흡연남 남성 1.7배·흡연녀 1.8배

서울의 한 매장 앞에 금연 안내문이 무색할 정도로 담배꽁초가 쌓여있다. 도준석 전문기자
2022년 직접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가 7만 명을 넘어섰고, 사회경제적 손실은 13조6000억 원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관리청이 30일 발표한 ‘2022년 흡연 기인 사망 및 사회경제적 부담 산출 연구’에 따르면, 해당 연도 흡연으로 인한 사망자는 7만2689명으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9000명 이상 증가한 수치다. 같은 해 추산된 사회경제적 비용은 13조6316억 원으로, 2021년에 비해 약 6000억 원 늘었다. 의료비와 간병비 등 직접비에 더해 조기 사망과 생산성 손실 등 간접비까지 포함된 금액으로, 흡연의 폐해가 개인을 넘어 사회 전체에까지 심각한 부담을 안기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흡연으로 인한 피해는 최근 수년간 증가세를 이어오고 있다. 2020년 6만1360명이던 관련 사망자 수는 2021년 6만3426명, 2022년에는 7만 명을 넘기며 꾸준히 늘었다. 사회적 손실 규모도 같은 기간 12조8912억 원에서 13조 원을 넘어섰다.
특히 흡연자의 사망위험은 비흡연자에 비해 최대 1.8배 높았다. 2022년 기준 현재 흡연자의 사망위험은 남성이 1.7배, 여성이 1.8배 높았으며, 과거 담배를 피웠다가 금연한 사람의 사망 위험도 남성이 1.1배, 여성이 1.3배 컸다.
사회경제적 비용 가운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항목은 조기사망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52.5%)이었고, 의료비(35.1%), 의료이용으로 인한 생산성 손실(8.7%)이 뒤를 이었다.
이번 조사는 국민건강보험공단, 통계청,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주요 기관의 대규모 데이터를 기반으로, 네 개의 코호트를 연계 분석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 연구는 2019년부터 매년 국가 단위 통계로 산출되고 있으며, 정부는 이를 금연 정책과 담배 규제의 근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흡연은 각종 암을 비롯한 만성질환의 대표적 원인으로, 개인의 건강은 물론 미래 세대의 삶을 위해서도 금연 실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