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호타이어 도급화’ 지역 노동계 쟁점 되나

‘금호타이어 도급화’ 지역 노동계 쟁점 되나

입력 2015-02-17 07:34
업데이트 2015-02-17 07: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16일 발생한 금호타이어 곡성공장 노조원의 분신 사망을 계기로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 문제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오르고 있다.

도급화가 근로자 분신의 직접적인 원인이 됐는지에 대해서는 노사 모두 아직 조심스러운 상황이다.

하지만 사망한 근로자의 업무가 올해 도급화 대상 직무였다는 점에서 논란의 대상이 되고 있다.

금호타이어의 직무 도급화는 올해 초 회사를 파업까지 끌고 갔던 핵심 쟁점 사안 가운데 하나였다.

하지만 금호타이어 노사는 임단협을 타결하면서도 직무 도급화 문제는 별다른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

금호타이어 직무 도급화는 2010년 회사가 워크아웃(기업구조개선작업)에 들어가면서 시작됐다.

공장 직무 597개를 하청회사에 넘겨 생산·운영비를 절감하는 것이 목적이었으며 당시 노조와 합의해 지금까지 521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가 이뤄졌다.

도급화에 따라 현재 금호타이어에는 1천여명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20여개의 도급회사 소속으로 근무하고 있다.

노조는 나머지 76개 직무에 대한 도급화를 막기 위해 지난해 12월 회사가 워크아웃을 졸업하자 재협상을 사측에 요구했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노조의 한 관계자는 “정규직이 하던 일을 비정규직들이 맡도록 하는 것에 노사가 이미 합의했던 사안인데 이를 다시 되돌리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76개 직무 중 48개 직무가 올해 도급회사에 넘어갈 예정이었으며 이번에 사망한 근로자가 맡았던 운반 업무도 전환 대상이었다.

사측은 이에 대해 도급화는 워크아웃 전 노사가 합의한 것으로 논의의 대상이 아니며 도급화 대상 근로자들의 신분도 정규직에서 비정규직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사측은 “도급화로 인해 정규직인 근로자가 비정규직으로 신분이 바뀌는 것은 절대 아니다”며 “왜 이 같은 극단적인 일이 발생했는지 파악 중이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도급화는 정규직 근로자가 맡고 있던 업무를 비정규직들이 하도록 한다는 것이며 해당 직원은 정규직으로서 새 업무를 맡게 된다”고 덧붙였다.

이번 근로자 분신 사망의 원인이 어떻게 드러날지 아직 명확하지 않다.

그러나 민주노총 등이 이를 쟁점화할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번 사건으로 금호타이어 도급화 문제가 지역 노동계의 새로운 논란거리로 떠오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