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우 싸게 판다” 줄 서서 샀더니 ´3등급´

“한우 싸게 판다” 줄 서서 샀더니 ´3등급´

입력 2015-10-28 16:35
업데이트 2015-10-28 16: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안동봉화産 등으로 속여 330억 챙긴 15명 입건

 원산지를 속여 한우 수백억원 상당을 판매한 일당이 경찰에 적발됐다.

 경남 창원서부경찰서는 유명 원산지에서 키운 것처럼 속여 한우를 유통·판매한 민모(43)씨 등 15명을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 위반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들은 전국 25개 지역에서 ‘안동봉화’ 또는 ‘홍성광천 한우직판장’이란 간판을 내걸고 서로 다른 법인이나 개인 사업체를 운영하면서 2013년 3월부터 최근까지 한우를 팔아 330억원 상당을 챙긴 혐의를 받고 있다.

 조사 결과 이들은 판매제품에 붙은 이력번호 옆에 ‘안동봉화 직판장’ 등의 스티커를 붙여 해당 제품이 안동이나 봉화에서 사육·도축된 것처럼 원산지를 혼동시켰다.

 한우들은 전국에서 경매로 가장 싼 가격에 샀다. 실제 안동봉화·홍성광천 한우는 1∼2%에 그쳤다. 이들은 주로 3등급 판정을 받은 한우를 사서 되팔았다. 이 가운데 출생한 지 20년이 넘거나 열외등급을 받은 한우도 있었다.

 이들은 ‘농장에서 도축장을 거쳐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해 유통 마진이 없다’며 시중 판매가격의 3분의 1 수준 등으로 한우를 싸게 팔았다. 소비자들이 길게는 2시간 동안 줄을 서서 구입하기도 했다.

 적발된 15명 가운데 민씨 등 2명은 유통기한이 지난 한우를 대량 보관하거나 냉장제품을 냉동보관하기도 했다고 경찰은 설명했다. 양모(45)씨는 냉동제품에 아무런 표시를 하지 않고 해동해 냉장제품으로 판매하기도 했다고 덧붙였다.

 경찰은 유통기간이 지난 한우 등 축산물위생관리법을 위반한 제품 800㎏을 공무원과 합동으로 회수·압류·폐기조치했다. 또 관련 법을 어긴 업체들이 행정처분을 받도록 명단을 해당 자치단체에 통보했다.

 경찰은 유명 원산지 한우를 취급하는 것처럼 간판을 내걸고 영업하는 업체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고 있다며 소비자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경찰은 “한우를 비정상적으로 싸게 판다는 첩보를 입수하고 수사에 착수했다”며 “한우를 구입하기 전에는 축산물이력제 확인 사이트(aunit.mtrace.go.kr)에서 이력번호를 조회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창원 강원식 기자 kws@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