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로 푸는 수학’ 고1까지 확대
“수학 문제를 말로 설명하자니 너무 어려워요.”새 학기에 초등학교 6학년에 올라가는 자녀를 둔 한 학부모는 요즘 ‘스토리텔링 수학’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다. 근처의 대형 서점에서 수학 참고서들을 훑어봤지만 머리만 아프다. 자신이 수학을 배울 때와는 전혀 다른 교재들에 고개만 갸우뚱거려진다. 자주 가는 온라인 학부모 카페에 글을 올려 봤지만, 시원한 대답은 나오지 않았다.
스토리텔링은 학생들에게 추상적인 수학 개념을 실생활이나 동화 등 익숙한 상황으로 개념을 익히도록 돕는 방법으로, 수학이 재미없는 과목이 아니라 재밌는 과목으로 바꾸고자 도입됐다. 예를 들어 새 교과서를 반영한 4학년 1학기 수학 문제집 첫 단원에는 ‘큰 수’의 개념을 알기 위해 2008년 세계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팬이 가장 많은 가수’로 기록된 동방신기의 이야기를 다루며 만 단위 이상의 수와 쓰임 등을 자연스럽게 습득시킨다. 동방신기가 ‘1초 간격으로 80만명의 회원에게 사인을 해 주는 데 며칠이 걸릴까’ 생각해 보는 문제들이 나온다.
바뀐 교육과정에 대해 부모와 교사들은 ‘학생들의 수학 흥미도는 다소 높아졌다’고 답했다. 하지만 여전히 절반 가까이가 ‘실질적 적용법을 모르겠다’고 했다. 천재교육이 전국 학부모 348명, 교사 214명 등 모두 562명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해 5일 발표한 ‘스토리텔링 수학 학습법 및 보완점 등 설문’에 따르면 ‘스토리텔링 방식 도입 후 수학에 대한 아이들의 학습 흥미도’를 묻는 질문에서 학부모, 교사 각각 50%, 56% 비율로 ‘흥미를 느낀다’고 답했다. 하지만 아이들을 직접 지도해야 하는 학부모, 교사들은 각각 49%, 46%가 ‘제대로 된 적용법을 모르겠다’고 응답했다.
스토리텔링 수학이 어려운 이유에 대해 특히 학부모들은 가장 많은 34%가 ‘부모 세대의 수학 학습법과 달라 수학적 개념을 말로 설명하는 것이 익숙하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수학 외 또 다른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하다’(28%), ‘학습 교재나 자녀 교육법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다’(18%) 순이었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학부모들이 주로 선택하는 자녀 교육 방법으로는 10명 중 8명꼴로 ‘문제집과 교재를 활용해 집에서 스스로 학습하게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이었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교재는 자녀가 고르게 하고, 자녀가 모르는 것을 정확히 파악하는 버릇을 들이라고 조언했다. 특히 스토리텔링 수학 도입 이유가 ‘재미’인 만큼 자녀 스스로 할 수 있게 초등학교에서 좋은 습관을 들이라고 강조했다.
조경희 시매쓰 수학연구소장은 “수학 문제를 위해 이야기를 애써 만들지 말고, 교과서에 있는 이야기 소재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게 더 좋다”고 조언했다. 조 소장은 특히 교재 선정과 관련해 “자녀가 얇은 책이나 삽화가 많이 그려진 책을 고른다 해도 고르게 해 주라”고 강조했다. 자녀가 모르는 부분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고쳐 주는 일도 중요하다. 조 소장은 “자녀가 문항의 기본 개념을 모르는지, 아니면 문장이나 단어에 어려움을 겪는지 파악하라”고 말했다.
박성은 경기 고양외고 수석교사는 책을 많이 읽고 직접 해보게 할 것, 그리고 많이 생각하도록 할 것을 강조했다. 예를 들어 ‘삼각형 내각의 총합은 180도’라는 개념을 설명할 때 예전에는 ‘각 A는 60도, 각 B는 40도면 나머지 각은 몇 도인가’라는 문제를 풀도록 했다면, 이제는 직접 각도기를 가지고 여러 형태의 삼각형 각을 일일이 재보고 모두 합이 180도라는 것을 알도록 생각하게 해줘야 한다는 뜻이다. 학교에서는 여러 명의 학생이 여러 형태의 삼각형의 내각을 모두 직접 재보고, 서로 비교해 보면서 개념을 알아 가는 방식으로 가르치는 것도 좋다. 박 교사는 이와 관련해 “스토리텔링의 핵심 개념은 바로 일상 언어”라면서 “책을 많이 읽고 표현을 많이 하도록 학부모가 유도하는 일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김기중 기자 gjkim@seoul.co.kr
2015-01-0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