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입시는… “수능은 논·서술형, 내신은 과목별 성취평가제”

미래 입시는… “수능은 논·서술형, 내신은 과목별 성취평가제”

유대근 기자
입력 2018-04-11 22:52
수정 2018-04-11 23:1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14

교육부 ‘중장기 대입제도’ 구상

“정답식 탈피해 창의적 교육으로”
2022년 도입 고교학점제 맞춰
전 과목 성취평가 대입 반영 추진

‘미래형 수능, 고교 절대평가제에 대해서도 답을 달라.’

교육부가 11일 2022학년도 대학입시 제도 개편 시안을 발표하며 중장기 대입 정책 방향을 함께 공개했다. 이 안건도 국가교육회의로 넘겨 의견을 받을 계획이다.

정부가 구상 중인 중장기 대입제도는 논·서술형이 포함된 미래형 수능과 고교 내신 성취평가제(절대평가제), 고교학점제 기반 학생부 전형이 중심축이다.

성취평가제는 상대평가와 달리 학생 개개인의 교과목별 성취 수준을 A∼E로 평가한다. 어느 학생이 더 잘했는지가 아니라 학생이 무엇을 어느 정도 성취했는지가 평가 기준이다.

고교학점제는 고등학생도 능력과 적성, 희망진로에 따라 대학에서처럼 필요한 과목을 선택해 배우고 기준 학점을 채우면 졸업을 인정받는 제도다. 교육과정 이수 여부를 형식적인 출석 일수가 아니라 학점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과목별 성취 기준에 도달하면 학점 이수를 인정하기 때문에 성취평가제와 학점제는 서로 밀접하게 맞물려 있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창의적 사고력과 표현력을 길러주기 위해 학교 교육 혁신과 연계해 논·서술형 수능을 도입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교육부는 객관식 선다형 문제에 주관식 논·서술형 문항을 적절히 배합하거나 객관식 선다형으로 구성된 수능Ⅰ과 논·서술형인 수능Ⅱ를 분리 실시하는 방안을 연구 중이다.

논·서술형 수능을 도입하면 기존 객관식 문제풀이 수업과 주어진 정답을 찾는 교육에서 탈피해 창의적 토론과 학생 스스로 답을 찾아가는 교육으로 바뀌는 계기가 될 것으로 정부는 기대한다.

그러나 사전에 충분한 준비 기간이 필요해 3년여밖에 남지 않은 2022학년도 입시에서 논·서술형 수능을 도입하는 것은 시기상조라고 판단했다. 지금처럼 서열화된 대학 체제에서는 채점자와 채점 기준을 두고 공정성 논란이 일 수 있는데다 섣불리 도입하면 관련 사교육 시장이 급격히 팽창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미래형 수능과 관련해 교육 현장에서도 다양한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는 2022년으로 예정된 고교학점제 도입과 연계해 내신 성취평가제를 확대하고 대입에도 이를 반영할 계획이다. 고교에서는 교육과정에 근거해 성취 기준과 수준을 마련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학생을 가르치고 평가하게 된다. 2022학년도 대입까지는 현행대로 대학에 석차 등급만 제공하지만, 2022년 고교학점제 도입 이후에는 전 과목에 걸쳐 성취평가제를 대입에 반영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학점제 확대에 맞춰 대입 전형 틀을 구조적으로 바꾸는 것도 고민 중이다. 이와 관련해 대학의 모집계열별 특성에 따라 필요한 고교 교과 이수 이력, 학점 기준 등을 반영하는 학생부 전형 도입이 유력한 방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유대근 기자 dynamic@seoul.co.kr
2018-04-12 4면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11월 5일로 다가온 미국 대선이 미국 국민은 물론 전세계의 초미의 관심사가 되고 있습니다. 민주당 후보인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과 공화당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각종 여론조사 격차는 불과 1~2%p에 불과한 박빙 양상인데요. 당신이 예측하는 당선자는?
카멀라 해리스
도널드 트럼프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