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장에서 국립공원까지…환경분야 안전대진단

사업장에서 국립공원까지…환경분야 안전대진단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06-09 16:07
업데이트 2020-06-09 16: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환경부 10일부터 한달간 1412곳 대상

환경부는 유해 화학물질 취급사업장 등 국민 안전에 영향을 주는 시설 1412곳을 선정해 10일부터 한달간 안전진단을 벌인다고 9일 밝혔다. 2015년 시행된 국가안전대진단의 일환으로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국가적 총력 대응을 위해 일정이 늦어졌다.

환경부는 점검기간이 한달로 짧아짐에 따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6개 환경시설 중 안전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시설과 안전기준이 없거나 같은 유형의 사고가 자주 일어나는 시설을 선정했다. 점검대상은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 200곳, 상수도 시설 912곳, 공공하수처리시설 127곳, 댐·수자원 87곳, 국립공원 50곳, 폐기물매립장 36곳 등이다.

유해화학물질 취급사업장과 댐·수자원, 국립공원, 폐기물매립장 등은 민관 합동으로 안전 기준 준수 여부를 살피고 상·하수도 시설은 관리 주체별로 자체 점검을 진행한다. 상수도 국가기반시설 84곳, 하수도 30곳은 환경부 ‘환경안전진단추진단’이 표본 점검한다. 지난 4월 전수점검(2174곳)했던 국립공원은 여름 휴가철을 앞두고 지역별 주요 명소 탐방로 50곳을 선정해 집중 살필 예정이다.

환경부는 점검 결과 현장에서 시정 가능한 사항은 즉시 조치하고 보수나 보강이 시급한 사항은 자체 재원을 활용해 3개월 이내 개선 작업을 마칠 예정이다. 추가 진단이 필요한 사항이 나오면 별도 정밀안전진단도 실시한다. 홍정기 환경부 차관은 “안전관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민간시설 등 안전관리 사각지대를 중점적으로 점검해 실효성 있는 안전진단이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종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