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잃어버린 무기 잡식(雜食)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잃어버린 무기 잡식(雜食)

입력 2011-05-16 00:00
업데이트 2011-05-1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람만큼 경쟁에 취약한 동물도 흔치 않습니다. 사자처럼 강한 이빨을 가진 것도 아니고, 치타처럼 빠르지도 않습니다. 코끼리처럼 압도적인 체구도 못 가졌고, 독수리처럼 날아오르는 능력도 없습니다. 그런 사람을 ‘만물의 영장’이라고 하는 건 인간의 주관적 평가일지도 모릅니다. 아무튼 인간은 살아남았습니다. 그냥 살아남은 게 아니라 모든 경쟁자들을 압도하는 지위에 군림하고 있습니다. 먹이경쟁에서 살아남았고, 빙하기를 견뎌냈으며, 수많은 질병과 또 다른 육식동물의 식탐에서 스스로를 지켜냈습니다. 도대체 인간을 이렇게 지켜낸 능력은 무엇일까요. 저는 잡식능력을 꼽습니다.

인류학 교과서는 인간이 영장인 것은 도구를 사용하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그러나 되짚어 보면 인간이 도구를 사용한 것은 스스로 약하다는 사실을 알았기 때문이며, 도구를 통해 이루고자 했던 보다 본원적 가능성이 있었을 것입니다. 바로 잡식능력입니다. 생존 무대에서 사라진 모든 멸종의 비극은 먹이경쟁에서 도태됐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인간은 살아남았습니다. 고기가 없으면 알곡을 먹고, 알곡이 없으면 풀뿌리를 먹고, 그마저 없으면 나무껍질을 먹고 살아남았습니다. 그 잡식성이 인간을 지킨 가장 위력적인 무기였음은 의심의 여지가 없습니다.

문제는 인간이 이 무기를 버렸다는 점입니다. 스스로를 지켜줬고, 강인하게 한 무기를 버린 인간은 언제부턴가 편식 애호에 빠졌고, 그 결과 비만, 고혈압, 심장병, 혈관질환, 당뇨병 등 온갖 질병에 몸을 맡긴 꼴이 되고 말았습니다. 지금의 인간이 예전처럼 다른 동물들과 원초적으로 경쟁해야 한다면 아마 멸종의 위기를 맞을지도 모릅니다. 이런 인간을 가장 인간답게 하는 특성인 잡식성을 되찾는 일은 선택의 문제가 아니라 당위이며, 바로 지금, 우리가 고민해야 할 문제입니다.

jeshim@seoul.co.kr

2011-05-16 24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