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닭서리 강좌

[심재억 전문기자의 건강노트] 닭서리 강좌

입력 2012-01-30 00:00
수정 2012-01-30 00:4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말이 강좌지 닭서리라는 게 딱히 어려운 일도 아니고, 또 각론적으로도 고작 닭 잡는 방법 몇 가지가 전부라 길게 말할 것도 없습니다. 그러나 살다 보면 혹 필요할 때도 있지 않을까 싶어 ‘엉뚱한’ 소견을 곁들여 설명할까 합니다. 단, 연습이랍시고 아무 집에나 불쑥 들어가서는 안 됩니다. 닭 먹으려다 콩밥 먹을 수도 있으니까요.

닭서리를 하려면 먼저, 전략적 고려가 필요합니다. 이를테면 후환을 없애기 위해 서리할 집 아들놈을 먼저 포섭해 같이 움직이는 것 등이 그것입니다. 예나 지금이나 시골에는 집집마다 개 한 마리 없는 집이 없거든요. 대문 앞에서 인기척만 나도 이 똥개가 어찌나 왈왈대는지…. 그렇더라도 그 집 아들놈만 같이 있으면 만사형통입니다. 먼저 아들을 들여보내 개를 상대로 작업을 끝내면 뒤이어 본대가 닭장으로 잠입합니다. 그 시절엔 지금처럼 닭장에 자물쇠 채우는 일 따위는 하지 않았습니다. 자물쇠값이 닭보다 비싸 굵은 철사 둘둘 말아 질러 놓는 게 전부였지요. 닭장 안에서는 절대 정숙! 닭이 한번 놀라면 열 마리, 스무 마리가 한꺼번에 홰를 치고 난리법석을 쳐 산통 깨기 일도 아니니까요. 부러 샅에 푹 찔러 넣어 따뜻하게 덥힌 양손으로 토실하게 살이 오른 암탉의 목덜미와 날갯죽지를 동시에 감싸 쥡니다. 그것으로 끝입니다. 뒤늦게 사태의 심각성을 알아챈 닭이 나대보지만 발만 동동거릴 뿐. 이제 까치발로 마당만 빠져나오면 겨울밤 기막힌 호궤의 야찬(夜餐)이 기다리고 있습니다.

생각해보면 농경민족은 육류에 대해 뿌리 깊은 향수를 가졌습니다. 가축이 인간과 식량을 두고 다투는 관계이다보니 양껏 키울 수도 없고, 예전의 수탈체제하에서는 잘 키워봤자 탐관오리 배나 불릴 뿐이어서 키우기 싫었고, 그래서 항상 단백질 결핍증을 안고 살 수 밖에 없었지요. 그런 농투산이들이 긴 겨울밤을 서리한 닭 삶아 먹는 재미로 떼우는 건 문화인류학적으로도 이해 되는 일입니다.

인체란 특정 영양소가 부족하면 관련 음식을 당기게 해 영양을 보충하도록 만들어졌으니까요. 그러고 보면 닭서리는 본능이 개입한 ‘귀여운 도둑질’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물론 옛날 이야기지만.

jeshim@seoul.co.kr

2012-01-30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