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임신빈혈과 치료

[Weekly Health Issue] 임신빈혈과 치료

입력 2012-06-25 00:00
업데이트 2012-06-25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임신부 30% 빈혈… 철분주사제 효과 빨라

빈혈은 원인이 많지만 일반적으로는 적혈구 내에 존재하는 헤모글로빈의 양이 정상치에 못 미치는 경우를 말한다. 특히 임신빈혈은 태아의 발육에 필요한 철이 모체로부터 공급돼 임신부의 적혈구 수치가 떨어지면서 발생한다. 따라서 빈혈이 있는 여성이 임신하면 임신빈혈은 더욱 악화된다.

임신빈혈 증상은 국내 임신부 30% 이상이 겪을 만큼 흔하다. 이정재 교수는 “이런 임신빈혈 역시 임신부의 혈액 속 적혈구가 부족할 때 발생하는데, 이런 상황이라면 태아를 위해 헤모글로빈을 운반하는 적혈구를 많이 생산하도록 해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여성들이 임신 중 적정 혈액양을 유지하는 것이 결코 쉬운 일은 아니다. 평소보다 많은 적혈구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철분이 필수적으로 필요하지만,대부분의 여성들은 철분을 체내에 축적하지 못하고 있고, 충분한 양의 섭취도 어렵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빈혈을 예방, 치료하기 위해서는 평소에 소고기·닭고기·돼지고기 등 육류와 시금치·콩·어류 등 철분이 풍부한 식품을 적당하게 섭취하는 게 중요하다.”면서 “보통 음식을 통해 섭취하는 철분의 10% 정도만 소장을 통해 체내에 흡수·활용되므로 철분의 섭취율을 높이려면 오렌지·토마토 등 비타민 C를 함께 섭취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비타민 C가 철분 흡수를 돕기 때문이다.

그러나 음식만으로 필요한 철분을 얻기는 쉽지 않다. 음식으로 빈혈이 적절하게 관리되지 않으면 인공적으로 철분을 투여해야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지킬 수 있다. 특히 임신 16주 후부터는 체내 헤모글로빈 수치가 급격히 감소하기 때문에 철분 섭취가 더욱 중요하다. 이 교수는 “빈혈이 심한 상황이라면 흡수장애 등 부작용을 고려해 정맥주사로 투여할 수 있는 주사제를 권장한다.”면서 “주사제의 경우 대용량 투여가 가능해 산모가 병원을 찾는 횟수도 줄일 뿐 아니라 효과도 빠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2-06-25 24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