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장으로 방광을 만든다고?

소장으로 방광을 만든다고?

입력 2013-06-10 00:00
업데이트 2013-06-10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변주머니 필요없는 ‘인공방광대치술’ 주목

방광암 등으로 방광을 제거할 경우 자신의 장기로 방광을 만들어 줄 수는 없을까. 그럴수만 있다면 다양한 이유로 소변주머니를 차고 살아야 하는 많은 환자들의 삶의 질은 크게 개선될 것 이다.

이런 가운데 환자의 소장을 이용해 방광을 만들어주는 ‘인공방광대치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이동현 이대목동병원 비뇨기과 교수팀은 이 병원에서 2010~2012년 방광절제술 후에 인공방광대치술을 시행한 환자를 분석한 결과, 2010년에 비해 2011년에는 83.3%, 2011년에 비해 2012년에는 50%가 증가했다고 최근 밝혔다. 연령층도 다양해 60~80세 환자의 70% 이상이 인공방광대치술을 받았는가 하면 60세 이하의 상대적으로 젊은 환자들도 적용 사례가 빠르게 늘고 있다.

인공방광대치술은 자신의 소장 일부를 떼어내 오줌주머니를 만든 뒤 이를 요관에 연결함으로써 정상적으로 소변을 볼 수 있게 하는 수술로, 소변주머니를 달고 다녀야 하는 기존 치료법보다 고난도의 수술로 꼽힌다. 이 교수는 “인공방광대치술은 수술 자체가 쉽지 않지만 정상적인 배뇨는 물론 신경보존술을 거치면 성생활도 가능한 획기적인 수술”이라고 설명했다.

방광 절제의 주요 원인인 방광암은 흔한 비뇨기계 암으로, 방광 내 점막에만 생긴 초기 표재성 방광암, 점막을 뚫고 근육까지 진행된 근침윤성 방광암, 전신으로 퍼진 전이성 방광암 등으로 구분한다. 이 가운데 초기 표재성 방광암은 내시경으로 점막의 혹만 제거하면 되지만 암세포가 방광 점막을 뚫고 근육까지 침투한 침윤성 방광암의 경우 골반 주변의 임파선·전립선·정낭 등을 포함해 전체 방광조직을 들어내는 수술을 하게 된다. 수술 후에는 소장을 절제해 요관을 연결하고 다른 쪽 끝을 복부로 노출시켜 외부 비닐주머니와 연결시켜 소변을 받아내야 해 환자들의 불편이 컸다.

이 교수는 “기대수명이 100세에 이르는 고령화 때문에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인공방광대치술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고 최근의 추이를 전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6-10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