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뇌전증 환자가 17만 1806명으로, 유병률이 인구 1000명당 3.5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뇌전증은 뇌에서 비정상적으로 발생한 전기파가 작용해 경련성 발작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원래는 ‘간질’로 불렸으나 사회적 편견을 없애기 위해 2010년부터 뇌전증으로 명칭을 바꿨다.
대한뇌전증학회(회장 김흥동) 역학위원회는 2009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와 의무기록조사 자료 등을 근거로 국내 뇌전증 환자 수를 집계한 결과 이같이 산출됐다고 최근 밝혔다.
분석 결과 유병률은 남성(4.0명)이 여성(3.1명)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특히 10세 미만과 70세 이상 고령층 환자가 많았다. 2009년에 새로 진단된 뇌전증 환자만 보면 5세 미만 소아와 7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환자의 절반가량은 뇌전증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뇌졸중과 뇌 외상이었다. 뇌 감염과 해마 경화증 등이 뒤를 이었다. 20세 미만 환자의 경우 임신·출산 때의 손상이나 중추신경계 발달장애가 원인인 경우가 많았다. 중년층은 뇌 외상, 노년층은 뇌졸중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대한뇌전증학회(회장 김흥동) 역학위원회는 2009년도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와 의무기록조사 자료 등을 근거로 국내 뇌전증 환자 수를 집계한 결과 이같이 산출됐다고 최근 밝혔다.
분석 결과 유병률은 남성(4.0명)이 여성(3.1명)보다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특히 10세 미만과 70세 이상 고령층 환자가 많았다. 2009년에 새로 진단된 뇌전증 환자만 보면 5세 미만 소아와 70세 이상 고령층이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전체 환자의 절반가량은 뇌전증 원인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뇌졸중과 뇌 외상이었다. 뇌 감염과 해마 경화증 등이 뒤를 이었다. 20세 미만 환자의 경우 임신·출산 때의 손상이나 중추신경계 발달장애가 원인인 경우가 많았다. 중년층은 뇌 외상, 노년층은 뇌졸중이 가장 중요한 원인으로 지목됐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3-07-08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