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혈액제제, 수혈부작용 위험 높아”

“국내 혈액제제, 수혈부작용 위험 높아”

입력 2013-09-24 00:00
업데이트 2013-09-24 0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질병관리본부 “부작용 원인 백혈구 제거시스템 도입 필요”

국내에서 공급되는 일반 수혈용 혈액이 바이러스 감염 등의 부작용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아 개선 필요성이 제기됐다.

24일 질병관리본부의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 유용성 연구에 대한 고찰’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수혈용 혈액제제는 골수이식수술 환자 등 일부 환자용을 제외하고는 백혈구를 제거하지 않은 채 공급된다.

그러나 백혈구는 인체 면역반응을 일으키는 핵심적인 세포여서 감염과 발열 등 각종 수혈 부작용의 원인이 된다고 질병관리본부는 지적했다.

질병관리본부가 제시한 기존 연구결과를 보면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를 도입하면 가장 흔한 수혈 부작용인 ‘비용혈성 발열성 수혈 부작용’ 위험이 2분의 1∼4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다.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는 또 혈소판 수혈에 내성이 생기는 ‘혈소판불응증’ 부작용을 낮추고 수술 후 감염·사망 위험을 떨어뜨리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백혈구 속에 존재하는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 예방효과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부 동물실험 결과, 백혈구는 변형크로이츠펠트야콥병(vCJD), 속칭 ‘인간광우병’ 전파에 관여한다는 가설도 제기됐다.

이런 이유로 프랑스 등 해외 다수 국가가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를 전면도입했다.

이 가운데 영국, 아일랜드, 포르투갈 등 광우병 유행국가에서는 vCJD 예방 목적으로 백혈구 제거 혈액을 도입했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환자 대부분이 (백혈구가 제거되지 않은) 일반 혈액제제를 수혈받고 있으므로 여러 수혈 부작용이 발생할 가능성이 큰 실정”이라고 진단했다.

보건당국은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 도입 필요성을 인정하면서도 비용부담이 걸림돌이 되고 있다고 지목했다.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를 전면 도입하려면 제거 필터 비용으로만 연간 388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인건비를 비롯한 간접비용까지 계산하면 소요 예산은 더 커진다.

성분채혈의 경우 백혈구가 섞이지 않지만 국내에서는 보험수가가 상대적으로 낮아 비중이 높지 않은 편이다.

질병관리본부는 “(비용부담이 크기 때문에) 일시에 전면도입을 하기보다는 백혈구 제거 혈액제제의 건강보험 적용 대상 질환 범위를 넓혀 사용량이 확대되도록 유도하는게 효율적인 대안”이라고 제안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