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 응급환자 ‘수술실 찾아 삼만리’ 줄인다

심야 응급환자 ‘수술실 찾아 삼만리’ 줄인다

입력 2013-11-21 00:00
업데이트 2013-11-21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부, 병원간 당직 전문의 핫라인 구축… 375곳 참여

밤 10시쯤 갑작스러운 두통에 시달리다 가까운 병원 응급실을 찾은 A(49)씨는 뇌 CT(컴퓨터단층촬영) 검사 결과 뇌혈관 출혈 진단이 나왔다. 당장 응급수술을 할 수 있는 병원으로 옮겨야 했다. 그런데 응급실에서 주변에 있는 대학병원 3곳에 한 시간 가량 연락해도 중환자 병실이 없다는 대답만 돌아왔다. 어쩔 수 없이 밤 11시 20분 사전 연락 없이 A씨를 가장 가까운 B대학병원으로 이송했다. B대학병원 응급실에서는 A씨 상태를 확인하고서 신경외과 당직전문의를 호출해 자정쯤 응급수술에 들어갈 수 있었다. 차로 10분 거리에 있는 병원으로 옮기는 데 한 시간이 넘게 걸렸다. 만약 처음부터 수술을 집도할 당직전문의와 직접 연락이 닿았다면 어땠을까.

보건복지부는 응급환자가 발생했을 때 응급의료기관에서 환자를 다른 병원으로 옮기는 ‘전원’ 과정에서 발생하는 각종 폐해를 막기 위해 대한응급의학회와 손잡고 ‘병원 간 안전한 응급환자 전원을 위한 이송지침’을 마련해 20일 발표했다.

복지부는 무엇보다 응급의료기관과 전문의 간에 환자 전원 전용 핫라인(유무선전화)을 설치해 복잡한 응급환자 전원 단계를 대폭 줄였다. 즉 전국 시도별 응급의료기관에 당직전문의 전용 무선전화를 지급해 전문의에게 직접 연락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했다. 10월 현재 전국 응급의료기관 438곳 중에서 375곳이 핫라인 구축에 참여해 모두 629개 회선(유선 404개, 무선 225개)을 설치했다.

소방방재청과 협조해 의료기관이 119구급상황관리센터에 의뢰해 환자를 전원할 수 있는 응급의료기관을 편리하게 안내받을 수 있도록 별도로 직통유선번호(응급실-119 핫라인)도 갖췄다.

복지부 현수엽 응급의료과장은 “응급환자가 병원을 전전하지 않고도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면서 “앞으로 전원환자 질 관리 평가 시스템을 정비하는 등 응급환자의 의료이용 만족도를 높이는 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지난해 응급상황에서 다른 병원으로 옮긴 환자는 2만 7000명 쯤이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3-11-21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