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턱관절 장애 치료 잘못된 습관 개선 노력이 중요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지렛대 역할을 하는 턱관절에 이상이 생긴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심하면 어깨나 목까지 통증이 번진다. 귀 앞쪽에 위치한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를 연결해준다. 턱관절과 치아 그리고 근육과 인대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단순 회전 운동뿐 아니라 전후 좌우운동, 그리고 분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가장 흔한 3대 턱관절 장애 증상은 관절통증, 관절잡음, 개구장애이다. 통증은 환자의 65~99%가 호소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이 밖에도 치통, 귀가 아프거나 귀가 답답하고 소리가 나는 증상, 어지럼증, 두통, 목이나 어깨부위 근육통 등이 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환자 스스로 잘못된 습관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턱관절에 나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피하는 것이다. 만성 스트레스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킨다. 이로 인해 근육에 피로물질이 쌓이면 염증이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관절 디스크의 위치를 변형시킨다. 또 이를 악물거나 충치나 잇몸질환이 있어 음식을 제대로 못 씹는 사람도 턱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게 돼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건강염려증 환자 정신 치료로 스트레스 줄여야
건강염려증은 자신이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는 믿음이나 걸릴 수 있다는 공포에 사로잡혀 자신의 건강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염려하고 병에 집착하는 질병이다. 건강염려증에 걸린 환자들은 자신이 질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증세를 다양한 의학 용어를 써 가며 호소한다. 환자는 병원에서 검사 결과가 정상이고 질병이 없다는 의사의 설명을 믿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여 여러 병원을 다니며 반복적인 검사를 받는 등 병원 ‘쇼핑’을 하기도 한다. 간혹 병원을 믿지 못하고 나름대로 치료하겠다고 하며 건강식품을 먹거나 민간요법에 심취하기도 한다. 대부분은 신체적 질환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정신과 치료에 대해 거부감이 강하다. 정신 치료를 통해 스트레스를 줄여 주면서 만성 경과에 대응하는 대처요령을 터득하도록 도와주는 게 필요하다. 우울이나 불안 증세를 동반할 때는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미리 계획된 검사를 정기적으로 해 줌으로써 의사가 환자를 무시하거나 포기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치과 이부규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
음식을 씹거나 말을 할 때 지렛대 역할을 하는 턱관절에 이상이 생긴 사람들이 늘고 있다. 심하면 어깨나 목까지 통증이 번진다. 귀 앞쪽에 위치한 턱관절은 아래턱뼈와 머리뼈를 연결해준다. 턱관절과 치아 그리고 근육과 인대들이 서로 상호작용을 하면서 단순 회전 운동뿐 아니라 전후 좌우운동, 그리고 분쇄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가장 흔한 3대 턱관절 장애 증상은 관절통증, 관절잡음, 개구장애이다. 통증은 환자의 65~99%가 호소하는 가장 흔한 증상이며, 이 밖에도 치통, 귀가 아프거나 귀가 답답하고 소리가 나는 증상, 어지럼증, 두통, 목이나 어깨부위 근육통 등이 있다. 턱관절 장애의 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환자 스스로 잘못된 습관을 개선하고자 노력하고 턱관절에 나쁜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피하는 것이다. 만성 스트레스는 턱관절 주변의 근육을 과도하게 긴장시킨다. 이로 인해 근육에 피로물질이 쌓이면 염증이 생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턱관절 디스크의 위치를 변형시킨다. 또 이를 악물거나 충치나 잇몸질환이 있어 음식을 제대로 못 씹는 사람도 턱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게 돼 장애가 생길 수 있다.
●건강염려증 환자 정신 치료로 스트레스 줄여야
건강염려증은 자신이 심각한 질병에 걸렸다는 믿음이나 걸릴 수 있다는 공포에 사로잡혀 자신의 건강에 대해 비정상적으로 지나치게 염려하고 병에 집착하는 질병이다. 건강염려증에 걸린 환자들은 자신이 질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며 자신의 증세를 다양한 의학 용어를 써 가며 호소한다. 환자는 병원에서 검사 결과가 정상이고 질병이 없다는 의사의 설명을 믿지 못하는 경향이 강하여 여러 병원을 다니며 반복적인 검사를 받는 등 병원 ‘쇼핑’을 하기도 한다. 간혹 병원을 믿지 못하고 나름대로 치료하겠다고 하며 건강식품을 먹거나 민간요법에 심취하기도 한다. 대부분은 신체적 질환이 있다고 믿기 때문에 정신과 치료에 대해 거부감이 강하다. 정신 치료를 통해 스트레스를 줄여 주면서 만성 경과에 대응하는 대처요령을 터득하도록 도와주는 게 필요하다. 우울이나 불안 증세를 동반할 때는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미리 계획된 검사를 정기적으로 해 줌으로써 의사가 환자를 무시하거나 포기하지 않는다는 확신을 주는 것이 도움이 된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치과 이부규 교수
정신건강의학과 정석훈 교수
2015-01-19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