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페스 바이러스 환자 급증… 체액 접촉 피하세요

헤르페스 바이러스 환자 급증… 체액 접촉 피하세요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5-05-24 23:16
업데이트 2015-05-24 23: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年평균 7%씩 증가… 완치 어려워

사람의 몸에 들어와 피부염 등을 일으키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자가 2009년 57만명에서 2013년 75만명으로 연평균 7.15%씩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24일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돼 최근 5년간(2009~2013년) 병원 진료를 받은 환자를 집계한 결과 인구 10만명당 환자 수가 2013년 1541명으로, 2009년(1175명) 대비 1.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0~4세 영유아는 특히 취약해 100명 중 5명 정도가 이 바이러스에 감염돼 병원을 찾았다.

감염질환을 종류별로 보면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인한 소수포성 피부염 환자가 31만명으로 가장 많았고, 상세 불명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 환자(19만명), 헤르페스 바이러스로 인한 구내염 및 인두 편도염 환자(17만명) 순이었다.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전 세계 정상 성인의 60~95%가 감염될 정도로 가장 널리 퍼져 있는 바이러스 감염 질환 중 하나다. 이 가운데 가장 흔한 단순포진 바이러스는 피부의 표피 또는 진피에 증식해 수포성 피부질환 등 감염 증상을 일으킨다. 한번 감염되면 체내에서 바이러스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평생 몸에 두고 살아야 한다.

이 바이러스는 몸에 잠복했다가 사람이 스트레스 등 자극을 받으면 신경세포를 타고 다른 점막으로 이동해 다시 병을 일으킨다. 보통은 피부질환 정도에 그치지만 면역력이 약한 사람에게선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도 있어 주의해야 한다.

헤르페스 바이러스 1차 감염을 예방하려면 우선 타인의 체액과 접촉하지 말아야 한다. 성적인 접촉을 통해서도 전염된다. 재발률이 높은 경우 항바이러스제를 장기간 투여해 바이러스 증식을 지속적으로 억제하는 치료법을 쓰기도 한다.

세종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5-05-25 1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