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외선 피하고 일광차단제는 3~4시간마다
비타민D가 햇빛에 의해 피부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된다는 점 외에 여름철 햇빛은 특별히 좋은 점이 많지 않다. 해로운 점이 많다. 오존층이 급속히 파괴돼 자외선에 의한 피해도 급증하는 추세다. 햇빛에 의해 생기는 급성부작용 중 대표적인 것은 일광 화상이다. 자외선에 의한 화상은 만성적인 피부질환을 유발한다.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성 질환, 그리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한다.
더 큰 문제는 만성적인 부작용으로, 피부 노화와 피부암이 있다. 주름이 지고 탄력이 없어지고 거칠어지며 때로는 검버섯이 생긴다. 실제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햇빛과 나이의 영향이 4대1일 정도로 햇빛에 의한 영향이 훨씬 크다. 어릴 적 일광 화상을 입었거나 20세 전에 각종 야외 활동으로 햇빛에 많이 노출된 사람에게는 피부암이 잘 생긴다.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노출을 피하고 일광차단제를 꼭 사용해야 한다. 3~4시간마다 새로 바르고 수영 후나 땀을 많이 흘린 후에도 다시 바르는 게 좋다.
●임신부 잇몸병땐 조산·저체중아 출산율 7배
임신 중 소홀하기 쉬운 것이 잇몸 관리다. 임신 중 잇몸이 약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 잇몸 관리에 많은 관심을 쏟지 않는데, 임신부가 잇몸병을 앓으면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율이 7배 정도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잇몸병을 일으키는 세균이 잇몸 속 혈관으로 들어가 혈류를 타고 몸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된 염증산물들이 태아와 태반에 나쁜 영향을 끼쳐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을 일으킨다. 임신 중독증도 잇몸병이 심한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한다. 스케일링과 간단한 잇몸 치료는 임신 중 언제든지 받을 수 있지만, 이 밖의 치과 치료는 의사의 상담을 거쳐야 한다. 임신 첫 3개월은 태아의 조직이 형성되는 민감한 시기이므로 응급 상황을 제외한 치료는 미루는 게 좋다. 스트레스로 인한 조산 위험이 큰 임신 말기도 피해야 한다. 임신 2기(4~6개월)가 치과 치료를 받기에 가장 안전한 시기다. 가장 좋은 것은 예방이다. 임신 전에 구강검사를 받아 충치를 치료하고 잇몸병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모두 제거한다. 임신 전에 잇몸병 치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으면 임신 중에도 정기적으로 치과를 찾아 구강 관리를 해야 잇몸병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장성은 피부과 교수, 김수환 치과 교수
비타민D가 햇빛에 의해 피부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된다는 점 외에 여름철 햇빛은 특별히 좋은 점이 많지 않다. 해로운 점이 많다. 오존층이 급속히 파괴돼 자외선에 의한 피해도 급증하는 추세다. 햇빛에 의해 생기는 급성부작용 중 대표적인 것은 일광 화상이다. 자외선에 의한 화상은 만성적인 피부질환을 유발한다. 기미, 주근깨 등의 색소성 질환, 그리고 피부의 노화현상을 촉진한다.
더 큰 문제는 만성적인 부작용으로, 피부 노화와 피부암이 있다. 주름이 지고 탄력이 없어지고 거칠어지며 때로는 검버섯이 생긴다. 실제로 피부 노화의 원인은 햇빛과 나이의 영향이 4대1일 정도로 햇빛에 의한 영향이 훨씬 크다. 어릴 적 일광 화상을 입었거나 20세 전에 각종 야외 활동으로 햇빛에 많이 노출된 사람에게는 피부암이 잘 생긴다. 햇빛이 가장 강한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는 노출을 피하고 일광차단제를 꼭 사용해야 한다. 3~4시간마다 새로 바르고 수영 후나 땀을 많이 흘린 후에도 다시 바르는 게 좋다.
●임신부 잇몸병땐 조산·저체중아 출산율 7배
임신 중 소홀하기 쉬운 것이 잇몸 관리다. 임신 중 잇몸이 약해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생각해 잇몸 관리에 많은 관심을 쏟지 않는데, 임신부가 잇몸병을 앓으면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율이 7배 정도 커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잇몸병을 일으키는 세균이 잇몸 속 혈관으로 들어가 혈류를 타고 몸의 다른 부분으로 이동하며, 염증반응 중 생성된 염증산물들이 태아와 태반에 나쁜 영향을 끼쳐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을 일으킨다. 임신 중독증도 잇몸병이 심한 경우에 위험도가 증가한다. 스케일링과 간단한 잇몸 치료는 임신 중 언제든지 받을 수 있지만, 이 밖의 치과 치료는 의사의 상담을 거쳐야 한다. 임신 첫 3개월은 태아의 조직이 형성되는 민감한 시기이므로 응급 상황을 제외한 치료는 미루는 게 좋다. 스트레스로 인한 조산 위험이 큰 임신 말기도 피해야 한다. 임신 2기(4~6개월)가 치과 치료를 받기에 가장 안전한 시기다. 가장 좋은 것은 예방이다. 임신 전에 구강검사를 받아 충치를 치료하고 잇몸병을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모두 제거한다. 임신 전에 잇몸병 치료를 받았던 경험이 있으면 임신 중에도 정기적으로 치과를 찾아 구강 관리를 해야 잇몸병의 재발을 막을 수 있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장성은 피부과 교수, 김수환 치과 교수
2015-07-13 24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