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입력 2015-07-19 17:48
업데이트 2015-07-19 22: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뛰어놀 때 뼈와 근육이 자라나는 아이들

엄마 뱃속에 있을 때부터 완전한 성인이 되기까지 아이들은 지속적으로 성장한다. 태어나서 가장 많이 자라는 때는 출생 시부터 만 2세까지다. 이 시기에는 1년에 키가 10~25㎝까지 자란다. 2세를 지나 사춘기 이전까지 성장 발육 속도가 다소 주춤해지는 경향이 있는데 그래도 1년에 평균 5~6㎝ 정도씩은 자라게 된다.

성장 속도는 사춘기에 들어서며 빨라진다. 보통 여자아이는 11세, 남자아이는 13세에 사춘기가 시작돼 2년간 가장 많이 성장한다. 이후 팔다리 성장은 서서히 멈추고, 주로 몸통이 성장하다 16~18세쯤에는 차츰 모든 성장이 멈춘다.

남자아이는 사춘기 때 한 달에 1㎝ 이상씩 자란다. 성장의 최대 절정기인 15세까지 약 16.5㎝까지 자라고 15세가 지나면 성장이 약간 더뎌지기는 하나 18세까지 약 6㎝가 더 자란다.

여자아이도 사춘기에 들어서 한 달에 1㎝ 이상씩 자라며, 성장의 최대 절정기인 13세까지 15㎝ 정도 큰다. 13세가 지나면 성장이 약간 더뎌지기는 하지만 16세까지 약 6㎝ 더 자란다.

그러나 이는 일반적인 경우로 개개인에 따라 큰 편차를 보이기도 한다. 즉 아이에 따라 어릴 때는 또래보다 작지만, 나중에 사춘기를 거치며 다른 아이들보다 부쩍 키가 더 크는 일도 있다. 실제 아이의 나이보다 뼈 나이(골 연령)가 낮아서다. 즉 실제 나이는 13세라 하더라도 뼈 나이가 11세밖에 되지 않았다면 다른 아이들에 비해 2년 정도 더 클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것이다. 그래서 성장이나 발달에서는 실제 나이보다 뼈 나이를 더 중요하게 여긴다.

아이들을 자라게 하는 데 필수적인 성장호르몬은 가만히 있을 때보다 몸을 일정한 강도 이상으로 움직여 줄 때 더 많이 분비된다. ‘뛰어논다’, 좀 더 정확히 말하면 ‘뛴다’는 것이 성장점을 자극해 성장호르몬의 분비를 늘린다. 천방지축으로 뛰어노는 아이들도 알고 보면 성장점을 자극하는 이런 ‘뜀뛰기’ 운동을 하는 것이다. 운동은 단순히 아이의 키만 쑥쑥 늘려 주는 것이 아니다. 뼈와 마찬가지로 근육에도 성장판이 존재하는데, 관절운동으로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면 근육 성장판이 자극을 받아 근육 세포가 자란다. 성장판 주위의 혈액순환과 대사활동을 증가시켜 아이의 성장과 발달을 더욱 촉진한다.

■도움말 서울아산병원 소아정형외과, 박수성 교수
2015-07-20 27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