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40%는 소주 3~4잔도 위험”

“한국인 40%는 소주 3~4잔도 위험”

정현용 기자
정현용 기자
입력 2015-12-15 23:42
업데이트 2015-12-16 03: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보승 교수, 美 학회지에 글

한국인의 40%는 적은 양이라도 술을 마시지 않는게 좋다는 지적이 나왔다. 강보승 한양대구리병원 응급의학과 교수는 15일 “한국,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인의 약 40%는 소량의 음주에도 안면홍조, 메스꺼움, 졸음 등의 특이적인 생리반응을 나타낸다”면서 “이는 서양인과 확연히 다른 특징으로, 술을 조금만 마셔도 몸이 빨개지고 힘든 사람들은 건강을 위해 소량의 술도 마시지 말아야 한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이런 내용을 담은 글을 미국신경학회 공식학술지 ‘뉴롤로지’에 게재했다. 이 글은 정식 논문은 아니다. 하루에 3~4잔 이내로 소주를 마시는 남성은 뇌졸중(뇌경색) 위험을 낮추는 효과가 있다는 국내 연구팀의 연구논문에 반박하기 위해 쓴 것이다. 일반적으로 몸속으로 들어간 술은 체내 분해 과정에서 얼굴이 붉어지고 구역질이 나거나 어지러워지는 독성 반응을 일으킨다. 이런 증상은 한국인을 포함한 동아시아인이 유전적으로 서양인보다 아세트알데히드를 분해 처리하는 기능이 절반 이하, 심지어는 10분의1 수준으로 낮기 때문에 발생한다는 것이 강 교수의 설명이다.

세종 정현용 기자 junghy77@seoul.co.kr

2015-12-16 11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