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 최고 33도, 폭염에 벌써 세번째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60대 이상

낮 최고 33도, 폭염에 벌써 세번째 온열질환 사망자 발생…60대 이상

이승은 기자
입력 2016-07-21 09:53
업데이트 2016-07-21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3도까지 올라간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의 모습.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서울의 낮 최고기온이 33도까지 올라간 20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의 모습.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가운데 온열질환 사망자가 또 발생했다. 올해 들어서만 벌써 3번째로, 지난해보다 사망자 발생 속도가 훨씬 빠르다.

21일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광주시의 한 밭에서 작업하던 A(82)씨가 열탈진으로 쓰러져 119 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올해 첫 온열질환 사망자는 지난달 23일 경북 김천에서, 2번째 사망자는 이달 9일 경북 의성에서 발생했다. 올해 첫 번째 온열질환 사망자가 나온 시점은 작년보다 한 달 이상 빨랐고, 두 번째, 세 번째 사망 환자 역시 지난해보다 빠른 속도로 확인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첫 사망자가 7월 28일에 나왔다.

질병관리본부는 “전반적으로 더위가 빨리 찾아온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질병관리본부의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보면 올 1월부터 이달 18일까지 열사병, 열탈진, 열실신 등의 온열질환 환자는 총 379명이 발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환자 수(276명)보다 37%나 증가한 수치다.

올해 온열질환 환자 수는 5월 말 이후 한 주에 10∼30명 수준을 유지하다가 곳곳에 폭염 특보가 내려졌던 7월 3∼9일 한 주 동안 한꺼번에 156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올해 온열질환 환자 가운데 절반이 넘는 209명(55.1%)이 50대 이상이었다. 사망자 3명은 모두 60대 이상 고령층이다.

질병관리본부는 폭염이 주로 발생하는 시간대(오전 11시~오후 2시)에는 되도록 야외 활동을 삼가고 실내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해 바깥과의 온도 차를 줄여야 한다고 조언한다.

야외 활동을 할 때는 양산을 준비해 햇빛을 피해야 하며 그늘에서 자주 휴식을 취하고 수분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좋다. 물을 자주 마시고 술이나 카페인 음료는 마시지 말아야 하며 어두운색의 옷이나 달라붙는 옷을 피하고 더운 시간대에는 휴식을 취해야 한다.

온열 질환에 걸렸다면 우선 시원한 장소로 옮겨 수분을 섭취해야 한다. 의식이 없을 정도로 상태가 좋지 않다면 신속히 119에 신고해 도움을 요청해야 한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