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암검진 2명 중 1명만 받아…의료빈곤층 검진율 특히 저조

국가암검진 2명 중 1명만 받아…의료빈곤층 검진율 특히 저조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9-26 10:49
업데이트 2018-09-26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의료급여 수급자는 암검진 무료에도 10명 중 3명만 참여

위암·대장암·간암·유방암·자궁경부암 등 한국인이 많이 걸리는 5대 암을 조기에 발견하기 위해 정부가 ‘국가암검진사업’을 하고 있지만 검진율은 50%에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김명연(자유한국당)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국가암검진 대상자는 2천366만2천명이었으나, 실제 검진자는 1천173만5천명으로 49.6%에 불과했다.

정부는 암으로 인한 의료비 증가 등 사회적 비용을 줄이기 위해 전체 건강보험가입자와 의료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국가암검진사업을 벌이고 있다.

위암과 유방암 검사는 만 40세 이상부터 2년에 한번씩, 대장암은 만 50세 이상부터 1년에 한번씩 받는다. 간암은 만 40세 이상 간염 보균자 등 고위험군만 1년에 두번씩, 자궁경부암은 만 20세 이상부터 2년에 한번씩 받을 수 있다.

건강보험 가입자 중 소득 상위 50%는 암 검진비용의 10%만 부담하면 되고, 건강보험 가입자 하위 50%와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무료로 받을 수 있다. 다만, 자궁경부암과 대장암 검사는 모두에게 무료다.

하지만 이런 지원에도 불구하고 지난해에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한 가지 또는 여러 가지 암검진 가운데 하나라도 응한 사람은 2명 중 1명에 그친 것이다.

지난해 대상자 그룹별 검진율은 건강보험 상위 50% 48.0%, 건강보험 하위 50% 52.9%, 의료급여 수급권자 32.3%였다.

의료급여 수급권자는 검진비가 무료고 별도의 암검진 기회가 부족한데도 10명 중 3명 정도만 국가암검진에 응해 원인 파악이 시급하다.

전체 수검률을 봐도 건강보험 가입자들의 수검률은 최근 5년간 6.6%포인트(2013년 43.0%→2017년 49.6%) 상승했지만, 의료급여 수급권자 수검률은 줄곧 30% 초반대(2013년 32.7%→2017년 32.3%)에 머물러 있다.

암종별 수검률은 간암이 66.4%로 가장 높았고, 이어 유방암 62.1%, 위암 59.1%, 자궁경부암 53.5%의 순이었으며 대장암이 36.1%로 가장 낮았다.

국가암검진을 통해 암을 발견하면 국가에서 별도로 의료비를 지원한다.

하지만 당해 국가암검진 대상자였으면서도 검진을 안 받았다가 뒤늦게 암을 발견하면 별도의 지원이 없으므로 될 수 있으면 당해에 검진을 받는 것이 좋다.

김명연 의원은 “국가가 암 조기 발견을 위해 5대 암에 대해 본인 부담 10% 또는 무료로 암검진을 실시하고 있지만, 수검률은 아직 절반에 못 미치고 있다”며 “현행 우편발송 통지 외에도 제도 홍보와 검진을 독려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