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커진 건강 빈부 격차

더 커진 건강 빈부 격차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19-10-27 22:46
업데이트 2019-10-28 0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20년새 男 흡연율 격차, 6%P→9%P로

女 비만율, 저소득층 늘고 고소득층 줄어
이미지 확대
지난 20년간 소득수준별 건강 격차가 더 커진 것으로 조사됐다. 빈부 격차가 개인의 건강권과 생명권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문제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다.

27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1만명 대상 ‘2018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보면 저소득층 남성의 흡연율은 지난해 40.1%로 고소득층(31.0%)보다 9.1% 포인트 높았다. 1998년만 해도 저소득층 흡연율(70.0%)과 고소득층 흡연율(63.7%)이 6.3% 포인트 차이가 났는데 20년 사이 격차가 더 벌어졌다.

●고혈압·당뇨 유병률도 저소득층만 증가

고혈압과 당뇨병도 마찬가지였다. 저소득층일수록 고혈압·당뇨병 유병률이 높았는데 해가 갈수록 이런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고소득층 고혈압 환자가 1998년 33.3%에서 2018년 30.1%로 감소하는 동안 저소득층은 34.8%에서 35.4%로 오히려 증가했다. 건강관리가 거의 이뤄지지 않은 것이다.

여성은 소득수준에 따라 비만율에서 큰 차이를 보였다. 저소득층 여성의 비만율은 1998년 25.7%에서 지난해 31.4%로 5.7% 포인트 증가했고 고소득층 여성 비만율은 같은 기간 23.8%에서 15.8%로 줄었다. 생계를 위해 오랜 시간 노동을 해야 하는 이들은 운동할 시간도, 건강 식단을 짤 여유도 없다.

●성인 남성 흡연율, 절반 ‘뚝’… 여성은 증가

전체 성인 남성 흡연율은 36.7%로 1998년(66.3%)에 비해 절반 가까이 떨어져 최저치를 기록했다. 하지만 성인 여성 흡연율은 2017년 6.0%에서 2018년 7.5%로 올라 지난 20년간의 설문조사에서 두 번째로 높은 흡연율을 기록했다.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19-10-28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