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센터 인력 확보에 재정 지원…의료진 400명 채용

응급의료센터 인력 확보에 재정 지원…의료진 400명 채용

김소라 기자
김소라 기자
입력 2024-09-10 15:08
수정 2024-09-10 16:09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2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 15곳 지정

이미지 확대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병원 곳곳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10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실 앞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9.10 연합뉴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전국 병원 곳곳이 응급실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는 가운데 10일 오전 서울 시내 한 대형병원 응급실 앞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다. 2024.9.10 연합뉴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응급실 인력 부족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응급실의 의료 인력 확보를 위해 정부가 인건비를 지원한다.

정윤순 보건복지부 보건의료정책실장은 10일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에서 “의사와 간호사를 합해 약 400명 정도 신규 채용이 가능하도록 예산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여기에는 한 달에 37억원의 재정 투입이 예상된다.

정 실장은 “중증응급환자를 많이 수용하는 응급의료센터나 인력 이탈로 진료 차질이 예상되는 의료기관 중에서 인건비 지원이 시급하게 필요한 기관에 먼저 지원할 것”이라면서 “추석 연휴 이후에도 응급의료체계 유지를 위해 시급한 인건비 수요가 있다면 재정 당국과 긴밀하게 협의해 지원하도록 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원활한 응급 진료를 위해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도 지정한다.

정부는 총 136곳의 지역응급의료센터 가운데 역량이 있는 기관 약 15곳을 거점 지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하고 권역응급의료센터 수준의 수가를 산정할 방침이다.

거점 센터는 심정지나 뇌출혈 등 중증·응급환자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게 된다.

응급의료법에 따르면 권역응급의료센터는 상급종합병원 또는 300병상을 초과하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역응급의료센터는 종합병원 중에서 지정된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