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시간이 늘어날수록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도 나빠진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주당 55시간 넘게 일하면 ‘우울·불안·스트레스’ 심해져” 노동시간이 늘어날수록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도 나빠진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서울신문DB
닫기이미지 확대 보기
“주당 55시간 넘게 일하면 ‘우울·불안·스트레스’ 심해져”
노동시간이 늘어날수록 신체 건강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도 나빠진다는 사실이 국내 연구를 통해 확인됐다. 서울신문DB
강북삼성병원 기업정신건강연구소는 노동자 1575명을 대상으로 주당 노동시간이 직무소진(번아웃)·우울·불안·스트레스·삶의 질 저하 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연구소가 9일 공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주당 노동시간이 51~55시간인 노동자는 주당 노동시간이 40~50시간인 노동자보다 우울·불안·직무소진·스트레스가 더 높았다. 각각 26.4%, 28.8%, 17.9%, 6.3%가 높았다.
연구소는 주당 노동시간에 따라 실험군을 40~50시간(1014명)·51~55시간(223명)·56시간 이상(338명) 등 세 그룹으로 나눠 정신건강 차이를 비교했다.
특히 주당 근로시간이 56시간 이상인 노동자는 정신건강 악화 정도가 40~50시간 노동자보다 우울 34.0%, 불안 47.0%, 직무소진 28.6%, 스트레스 13.8%로 더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구소의 임세원 부소장(정신건강의학과)은 “주당 55시간을 초과하는 근무는 우울·불안과 같은 심리적 삶의 질은 물론 신체적 삶의 질까지 악화시키는 것으로 드러났다”면서 “일과 삶의 균형을 보장해주려면 주당 노동시간을 최대 55시간을 초과하지 않도록 사회적 여건이 조성돼야 한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오는 10월 개천절(3일)과 추석(6일), 한글날(9일)이 있는 기간에 10일(금요일)을 임시공휴일로 지정시 열흘간의 황금연휴가 가능해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아직까지는 이를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다음 기사를 읽어보고 황금연휴에 대한 당신의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