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진 ‘라돈침대’ 모델 2종 추가…수거대상 29종으로 늘어

대진 ‘라돈침대’ 모델 2종 추가…수거대상 29종으로 늘어

입력 2018-07-06 19:00
업데이트 2018-07-06 19: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가 17일 서울 도봉우체국에서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수거한 ‘라돈침대’ 매트리스의 잔여 방사성 물질 측정검사를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논란이 불거진 대진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16일과 17일 집중 수거를 실시했다. 2018.6.17 뉴스1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관계자가 17일 서울 도봉우체국에서 인근 아파트 단지에서 수거한 ‘라돈침대’ 매트리스의 잔여 방사성 물질 측정검사를 하고 있다.
우정사업본부는 방사성 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논란이 불거진 대진침대 매트리스에 대한 국민의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16일과 17일 집중 수거를 실시했다. 2018.6.17
뉴스1
폐암을 유발할 수 있는 라돈이 검출된 대진침대 매트리스 모델이 추가로 2종 더 확인됐다. 이로써 라돈침대 모델은 29종으로 늘어났다.

원자력안전위원회는 ‘헬스닥터슬리퍼’, ‘파워콤보’ 등 대진침대 매트리스 모델 2개의 연간 피폭선량이 법에서 정한 기준(1mSv·밀리시버트 이하)을 초과한 것을 새로 확인했다고 6일 밝혔다.

헬스닥터슬리퍼의 연간 피폭선량은 2.51mSv, 파워콤보는 3.31mSv였다.

원안위는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 홈페이지에서 제보를 받아 대진침대 매트리스를 조사해왔다.

원안위는 침대 매트리스에서 방사성 물질이 나오는 것은 속커버 및 스펀지에 음이온 파우더가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보고 있다.

이 파우더의 원료는 천연 방사성 핵종인 우라늄과 토륨이 함유된 모나자이트다. 모나자이트 내 우라늄과 토륨의 비율은 1대 10 정도다. 우라늄과 토륨이 붕괴하면 각각 라돈과 토론이 생성된다.

원안위는 수거 대상 모델 중 특정 기간에 생산된 제품에는 모나자이트가 사용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웨스턴슬리퍼의 경우 2012년 10월부터 2016년 12월까지 생산된 제품을 제외하고는 모나자이트가 쓰이지 않았다.

뉴웨스턴슬리퍼의 경우 2005년, 그린슬리퍼의 경우 2007년 이전에 생산된 제품에는 이 물질이 사용되지 않았다.

이에 원안위는 모나자이트가 쓰이지 않은 제품은 수거 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