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철 독감’ 유행 6년 만에 최대치…아동·청소년 환자 급증

‘봄철 독감’ 유행 6년 만에 최대치…아동·청소년 환자 급증

한지은 기자
한지은 기자
입력 2025-04-18 14:23
수정 2025-04-18 14:2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독감 바이러스 약 97%가 B형

이미지 확대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지난 1월 오전 경기 용인시 기흥구의 한 소아과에 호흡기 질환 환자 증감 추이가 적힌 안내판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독감 등 호흡기 질환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지난 1월 오전 경기 용인시 기흥구의 한 소아과에 호흡기 질환 환자 증감 추이가 적힌 안내판이 붙어 있다. 연합뉴스


봄철에 접어들면서 인플루엔자(독감) 유행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아동·청소년을 중심으로 증가세가 뚜렷하다.

18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4월 1주(6~12일) 전국 300개 표본감시 의원을 찾은 독감 의심 환자는 외래환자 1000명 당 21.6명이었다. 3월 5주(3월 30일~4월 5일) 16.9명과 비교해 27.8% 늘어난 것으로 최근 5주 연속 증가세를 보인다. 이번 절기 유행 기준인 8.6명의 2.5배 수준이다.

독감은 일반적으로 12월 말부터 1월 초 사이 정점을 찍은 뒤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지만, 새 학기가 시작되는 3월 이후 학생층을 중심으로 재유행하는 경향이 있다. 올해 4월 1주 차 환자 수는 2019년(1000명당 42.1명)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은 수준이다.

올해 봄철 독감 유행도 학생 연령층이 주도하고 있다. 초등학생 연령대인 7~12세의 경우 외래환자 1000명당 독감 의심 환자가 73.3명에 달하고, 13~18세 중고생 연령대에서도 1000명당 69.9명까지 치솟았다.

이번 독감 유행은 B형 독감 바이러스가 주도하고 있다. 지난주 검출된 독감 바이러스의 약 97%가 B형으로, 일반적으로 A형보다 증상이 가볍지만 상대적으로 유행 기간이 길어 봄철까지 영향을 미친다. 이미 A형 독감에 걸렸던 사람도 B형 독감에 다시 걸릴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질병청은 손 씻기, 기침 예절 지키기, 마스크 착용 등 개인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킬 것을 강조했다. 이와 함께 이번 절기 독감 국가 예방접종이 오는 30일 종료되는 만큼, 아직 접종하지 않았다면 지금이라도 예방 접종을 서두를 것을 권고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2 / 5
주 4.5일 근무 당신의 생각은?
2025 대선의 공식적인 선거운동이 시작된 가운데 일부 후보들이 공약으로 내건 주 4.5일 근무가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OECD 국가 중 우리나라의 근로시간이 지나치게 길기 때문에 근로시간을 조정하겠다는 것인데 경제계는 난색을 표하고 있다. 당신의 생각은?
주 4.5일 근무에 찬성한다.
주 4.5일 근무에 반대한다.
2 / 5
2 / 3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