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업무상 과실’ 김한식 청해진해운 대표 징역 7년

‘세월호 업무상 과실’ 김한식 청해진해운 대표 징역 7년

이두걸 기자
이두걸 기자
입력 2015-10-29 11:26
수정 2015-10-29 11:26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세월호 침몰의 원인을 제공한 선사 청해진해운의 김한식(73) 대표가 대법원에서 징역 7년의 중형을 선고받았다. 304명의 꽃다운 생명이 희생된 세월호 참사 책임자에게 사건 발생 1년 6개월여만에 나온 대법원의 첫 판단이다.

 대법원 2부(주심 조희대 대법관)는 29일 업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로 기소된 김 대표에게 징역 7년에 벌금 200만원을 선고한 원심을 확정했다.

 김 대표는 세월호를 증축해 복원성이 악화된 상황에서 화물을 과다하게 싣고, 출항 전 과적 여부와 화물 고정 상태를 제대로 점검하지 않아 참사의 원인을 제공한 혐의로 기소됐다. 업무상과실선박매몰·선박안전법 위반 등 혐의도 추가됐다.

 여기에 회삿돈 수십억원을 빼돌려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사진을 구입하거나 유씨의 아들 대균·혁기씨에게 컨설팅 비용 등 명목으로 건넨 혐의(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도 받았다.

 1심은 “세월호 증개축 공사를 주도했고 복원성 악화를 보고받았는데도 과적 등을 독려했다”며 징역 10년을 선고했다.

 2심은 “비자금을 개인적으로 쓰지 않았고 다른 계열사 임원들에게 집행유예가 선고된 점 등을 감안하면 형이 너무 무겁다”며 징역 7년으로 감형했다.

 대법원은 이준석(70) 선장 등 승무원들의 상고심을 전원합의체에 넘겨 심리 중이다. 이 선장은 1심에서 유기치사 등 혐의로 징역 36년을, 2심에서는 살인 혐의가 인정돼 무기징역을 선고받고 상고했다.

 서유미 기자 seoym@seoul.co.kr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