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부산 16분 주파…시속 1200㎞ ‘꿈의 열차’ 개발, KTX의 4배 속도

서울∼부산 16분 주파…시속 1200㎞ ‘꿈의 열차’ 개발, KTX의 4배 속도

장은석 기자
입력 2016-07-21 20:42
업데이트 2016-07-21 2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서울~부산 16분 만에 주파하는 ‘꿈의 열차’
서울~부산 16분 만에 주파하는 ‘꿈의 열차’ UNIST(울산과학기술원)가 서울에서 부산까지 16분 만에 도달할 수 있는 ‘꿈의 열차’ 기술 개발에 나선다. 이 열차는 진공 튜브 안으로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른다. 사진은 열차 콘셉트. 2016.7.21. [UNIST 제공=연합뉴스]
서울~부산까지 16분 만에 주파하는 ‘꿈의 열차’가 개발된다.

UNIST(울산과학기술원)가 ‘하이퍼루프’의 핵심 기술 개발에 착수한다고 21일 밝혔다.

하이퍼루프는 진공 튜브 안으로 캡슐 형태의 고속열차가 사람이나 물건을 실어 나르는 시스템으로 2013년 8월 엘론 머스크(Elon Musk)가 제시해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열차가 이동하는 튜브 내부는 공기저항이 최소화돼 최대 시속 1200㎞로 주행할 수 있다. KTX보다 4배 빠른 속도다.

UNIST는 하이퍼루프의 핵심 요소인 튜브 내 공기의 저항을 줄이는 시스템과 열차의 추진 기술 개발에 나선다.

프로젝트에는 5년간 14억원이 투입되며 기계 및 원자력공학부,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가 함께 연구한다.

연구진은 튜브 내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열차 앞부분과 내부에 설치할 ‘공기 압축기’를 설계할 계획이다.

이 공기 압축기는 수축된 열차 앞쪽 공기를 빨아들여 열차 뒤로 내보내면서 공기저항을 줄이고 추진력을 얻는다고 대학 측은 설명했다.

열차는 튜브 안에서 공중에 뜬 채 이동하게 되는데 열차가 뜰 수 있도록 자석이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원리를 이용한 자기 부상 방식이 도입된다.

자기 부상 방식은 전력 공급량이 많이 필요한 단점이 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터널 상부에 태양전지를 설치하는 등 전력 공급시스템도 개발된다.

연구진은 1차연도에 연구 방향과 콘셉트를 확립하고 2·3차연도에 상세설계를 완료할 계획이다. 4차연도엔 성능 테스트를 수행하고, 5차연도에 실물을 완성하는 것이 목표다.

정무영 총장은 “UNIST가 보유한 연구 역량에 한국기계연구원 등 관련 연구기관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하이퍼루프’ 연구를 전 세계적으로 선도해나갈 것이다”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