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속에서 신종 미생물 발견

소금 속에서 신종 미생물 발견

유용하 기자
유용하 기자
입력 2018-07-05 12:00
업데이트 2018-07-05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치硏, 산업적 활용도 높은 고염,고열 견디는 고균 발견

국내 연구진이 천일염에서 새로운 미생물을 발견하는데 성공했다.
천일염 생산과정 서울신문DB
천일염 생산과정
서울신문DB
한국식품연구원 부설 세계김치연구소 미생물기능성연구단 노성운 박사팀은 김치의 주 재료 중 하나인 천일염에서 열과 염분에 모두 잘 견디는 극한 미생물을 찾아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연구는 기초과학 및 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 최신호에 실렸다.

이번에 찾아낸 미생물은 고균의 일종으로 높은 온도와 고염(鹽) 상태에서도 생존과 증식이 가능하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고균은 세균, 진핵생물과 생물의 3영역 중 하나로 핵이 없는 원생생물로 극한 환경에서도 살 수 있는 진화 초기단계 미생물이다.

일반적으로 극호염성 고균은 소금 농도가 20% 이상인 고염 환경에서 잘 자라는데 젓갈이나 김치 같은 비교적 소금 농도가 높은 발효식품 등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이유이다. 특히 극호염성 고균은 극한 환경에서 생존, 증식한다는 성질 때문에 산업적 가치가 높지만 극한 환경에서 어떻게 살아남는지에 대한 메커니즘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천일염 속 신종 미생물 발견 방법 세계김치연구소 제공
천일염 속 신종 미생물 발견 방법
세계김치연구소 제공
연구팀은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법을 이용한 유전체 분석으로 새로운 형태의 고균을 찾아냈다. 이번에 발견한 고균은 특히 열에 잘 견디는 호열성(好熱性)으로 기존의 고균은 35~45도에서 잘 자라지만 이번에 발견한 고균은 50~55도의 비교적 높은 온도에서도 생존이 가능하며 66도에서도 증식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호염성 고균 중 세번째로 큰 유전체 크기를 가진다는 점과 다른 고균과 다른 특이 유전자를 보유하고 있다는 것도 밝혀냈다.

노성운 박사는 “고염, 고온이라는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다양한 바이오산업 분야 원료로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번 연구로 밝혀낸 유전체 정보는 극한 미생물의 특이 유전자 해독과 적응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단서도 제공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유용하 기자 edmondy@seoul.co.kr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