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일, 레알 마드리드와 6년 계약…이적료 1천477억원

베일, 레알 마드리드와 6년 계약…이적료 1천477억원

입력 2013-09-02 00:00
업데이트 2013-09-02 07:4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올해 유럽축구 여름 이적시장의 ‘최대어’로 손꼽힌 가레스 베일(24)이 지루한 협상을 끝내고 마침내 역대 최고 이적료로 스페인 프리메라리가의 ‘거함’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을 마무리했다.

레알 마드리드는 2일(한국시간) 홈페이지를 통해 “베일이 레알 마드리드에 합류하게 됐다”며 “베일은 지난 시즌 토트넘(잉글랜드)에서 44경기에 출전해 26골을 터트리며 프리미어리그 MVP로 선정됐다”고 발표했다.

베일의 계약 기간은 6년인 가운데 팬들의 관심을 끌었던 이적료는 공개되지 않았다.

하지만 영국과 스페인 언론들은 베일의 이적료를 8천600만 파운드(약 1천477억원)라며 역대 최고액이라고 일제히 보도했다.

지금까지 역대 최고 이적료는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2009년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에서 레알 마드리드로 이적할 당시 발생한 8천만 파운드(약 1천400억원)였지만 베일이 4년 만에 경신했다.

빠른 발과 강한 체력은 물론 뛰어난 득점력과 프리킥 능력까지 겸비한 베일은 이번 시즌 개막을 앞두고 일찌감치 빅클럽들의 스카우트 표적이 됐다.

베일은 애초 왼쪽 풀백이었지만 최전방 공격에서도 특출한 능력을 발휘하는 다재다능함이 강점이다. 이 때문에 레알 마드리드는 토트넘과 이적료를 놓고 줄다리기를 펼쳤다. 한 때 사상 첫 이적료 1억 파운드 돌파가 관심으로 떠올랐지만 이뤄지지는 않았다.

베일은 전 소속팀인 토트넘 홈페이지에 “지난 6년 동안 토트넘에서 행복한 시간을 보냈다”며 “지금이 토트넘과 작별할 최적의 시간”이라는 작별의 말을 남겼다.

◇ 역대 유럽축구 이적료 순위(추정치)

┌───┬─────────┬────────────┬──────────┐

│ 순위 │ 이름 │ 이적 현황 │이적료(파운드·연도)│

├───┼─────────┼────────────┼──────────┤

│ 1 │ 가레스 베일 │ 토트넘→레알마드리드 │ 8천600만(2013년) │

├───┼─────────┼────────────┼──────────┤

│ 2 │ 호날두 │ 맨유→레알마드리드 │ 8천만(2009년) │

├───┼─────────┼────────────┼──────────┤

│ 3 │ 이브라히모비치 │ 인터밀란→바르셀로나 │ 6천70만(2009년) │

├───┼─────────┼────────────┼──────────┤

│ 4 │ 카카 │ AC밀란→레알마드리드 │ 5천900만(2009년) │

├───┼─────────┼────────────┼──────────┤

│ 5 │ 지네딘 지단 │ 유벤투스→레알마드리드 │ 5천300만(2001년) │

├───┼─────────┼────────────┼──────────┤

│ 6 │ 루이스 피구 │바르셀로나→레알마드리드│ 3천700만(2000년) │

├───┼─────────┼────────────┼──────────┤

│ 7 │ 에르난 크레스포 │ 파르마→라치오 │ 3천550만(2000년) │

├───┼─────────┼────────────┼──────────┤

│ 8 │크리스티안 비에리 │ 라치오→인터밀란 │ 3천200만(1999년) │

├───┼─────────┼────────────┼──────────┤

│ 9 │ 데니우손 │ 상파울루→레알 베티스 │ 2천150만(1998년) │

├───┼─────────┼────────────┼──────────┤

│ 10 │ 호나우두 │ 바르셀로나→인터밀란 │ 1천950만(1997년) │

└───┴─────────┴────────────┴──────────┘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