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핑, 숨을 곳 없다”…국제육상경기연맹의 경고

“도핑, 숨을 곳 없다”…국제육상경기연맹의 경고

입력 2015-02-03 13:34
수정 2015-02-03 13:3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이 금지약물과의 전쟁을 선포했다.

IAAF는 3일(한국시간) “우리 연맹은 강력한 금지약물복용 방지 프로그램을 통해 불법을 저지른 선수를 잡아내고 있다”며 “앞으로도 강력한 도핑 프로그램을 가동하겠다”고 밝혔다.

IAAF는 여자 3,000m 장애물의 율리아 자리포바와 여자 7종경기의 타티야나 체르노바(이상 러시아)를 대표적인 사례로 꼽았다.

러시아반도핑위원회(RUSADA)는 1월 31일 “체르노바와 자리포바가 도핑 테스트에서 양성반응을 보였다”고 밝혔다.

IAAF는 “2년 이상 지난 샘플을 통해 금지약물 복용 혐의를 잡아낸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주장하며 “도핑 테스트를 피하는 기법도 발전하고 있지만, 약물 복용을 잡아내는 기술도 발전한다. 또한, 당시 기술로는 잡아내지 못했던 것을 몇 년이 지난 후 잡아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자리포바는 2011년 6월부터 2개월, 2012년 7월부터 2개월 동안 금지약물을 복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RUSADA는 ‘선수생체여권(Athlete Biological Passport)’을 통해 금지약물 복용 시점을 찾아냈다.

ABP는 해당 선수의 생체지표를 추적 관찰하는 제도로 혈액과 소변 검사를 통해 적혈구·백혈구 숫자와 스테로이드 대사체의 농도를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정기간에 이례적인 변화가 생기면 금지약물 복용을 의심하고, 당시 샘플을 구체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체르노바는 2009년 베를린 세계육상선수권대회 당시 샘플에서 금지약물이 검출돼 징계 위기에 몰렸다.

자리포바와 체르노바는 2년 이상의 선수자격 박탈과 금지약물 복용 의심 시점에 달성한 기록이 취소되는 중징계를 받을 전망이다.

여자 3,OO0m 장애물과 7종경기에서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 금메달의 똑같은 성과를 얻은 자리포바와 체르노바는 같은 시점에 약물 스캔들에 휘말리는 고통도 함께하고 있다.

러시아를 대표하는 경보 선수 5명이 동시에 도핑 테스트에 걸려 시작한 ‘약물 스캔들’이 점점 다른 종목으로 번져가고 있다.

세계 육상계에도 치명적인 상처다. IAAF는 도핑 양성자 색출과 강력한 제재로 맞서려 한다.

IAAF는 최근 2005년에 치른 대회의 혈액 샘플을 검사하며 ‘약물 복용 의심 선수’를 찾아내고 있다.

라민 디악 IAAF 회장은 “40명 이상의 선수를 ABP를 통해 추적하고 있다”며 “여러 성과를 통해 금지약물 유혹에 빠진 선수들에게 ‘더는 숨을 곳이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5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1 / 5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