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창올림픽 사업비 2244억 부족”

“평창올림픽 사업비 2244억 부족”

최훈진 기자
입력 2016-07-20 22:44
업데이트 2016-07-21 01: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감사원, 평창조직위 감사

기념주화 등 재정 축소 반영
일부 경기장은 안전성 문제


평창동계올림픽 대회 사업비가 최소 2244억여원이 부족할 것이라는 감사 결과가 나왔다. 적자가 발생할 경우 국가가 부담을 떠안아야 한다. 또 일부 종목의 경기장은 설계 과정에서 안전성이 충분히 확보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사원은 올 3월부터 4월 22일까지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를 비롯해 10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준비 실태’ 감사 결과를 20일 공개했다. 감사원에 따르면 조직위가 지난해 10월 수립한 제3차 대회 재정계획에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지원금, 스폰서 수입 등 총수입은 2조 2731억원으로 총지출액과 동일하다. 하지만 실제로는 총 2244억여원의 사업비가 부족할 것으로 추정된다고 감사원은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조직위는 기념주화 제작·판매에 557억원의 사업비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는데도 지출액에 329억원만 반영하는 등 5개 세부사업에 들어갈 사업비 2840억여원을 1607억여원으로 축소해 재정계획에 반영했다는 것이다. 이 밖에도 원주·강릉 철도 역사 지원시설 설치 등 8개 사업비 711억원은 아예 재정계획에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감사원은 밝혔다.

반면 총수입액은 부풀려졌다. 제3차 대회 재정계획에는 IOC 지원금 수입으로 4496억원이 반영됐다. 하지만 실제로는 최소 300억원의 부가가치세가 차감되기 때문에 수입이 과다계상됐다는 것이다. 부가가치세는 대회와 관련, IOC로부터 재화나 용역을 공급받을 경우 국내에서 부담하게 되는 세금이다.

‘중봉 알파인(활강) 경기장’, ‘아이스하키Ⅱ 경기장’ 등 일부 종목 경기장은 안전성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정선에 건설 중인 중봉 알파인 경기장은 감리업체가 비탈면 구간의 안정성이 부족해 보강이 필요하다는 설계업체의 의견을 발주청에 보고하지 않아 보강이 실시되지 않았다. 강릉에 들어서는 아이스하키Ⅱ 경기장의 경우 곡면 형태의 지붕에 눈이 쌓일 경우 가장자리 쪽으로 하중이 몰려 붕괴 위험이 있는데도 이를 감안하지 않고 설계한 것으로 확인됐다.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는 감사원 감사 결과에 대해 “대회재정계획은 올림픽 개최에 필요한 여러 사업이 구체화되거나 확정되어 가는 과정에서 신규로 소요가 발생하거나 여건이 변동돼 다음번 재정계획 수립에 추가 반영했기 때문”이라면서 “IOC에서도 대회재정계획을 수차례에 걸쳐 수립하도록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훈진 기자 choigiza@seoul.co.kr

한재희 기자 jh@seoul.co.kr
2016-07-21 2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