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과 나 - 권석하] 한국도 영국도 응원하는 아들에게

[올림픽과 나 - 권석하] 한국도 영국도 응원하는 아들에게

입력 2012-08-09 00:00
업데이트 2012-08-09 01: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런던올림픽 덕분에 재미있는 일이 있었다. 거창하게는 국가의 정체성과 개인의 정체성 문제였다.

첫딸이 세 살 때 우리 가족은 영국으로 건너왔고, 둘째 아들은 이곳에서 태어나 자랐다. 그러다 보니 집에서 우리말을 쓰고 한식을 먹어도 애들에겐 영국이 더 편하고 정겨운 곳이다. 아이들 대화 도중 ‘우리나라’란 말이 나오면 잘 새겨 들어야 한다. 한국일 수도 있고 영국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만큼 애들 마음속에는 두 나라가 같은 비중으로 자리 잡고 있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둘째가 승승장구하는 한국 팀을 보고 “가슴이 막 뛰어요.”라고 말했을 때 안도와 함께 뿌듯함을 느꼈다. 해외에 살면서 자식에게 한민족의 정체성을 심어 주는 일은 쉬운 게 아니다.

축구를 좋아하는 둘째와 2년 전 남아공월드컵 중계를 보다가 “넌 한국과 영국이 대결하면 어느 쪽을 응원할래?”라고 물은 적이 있다. 궁금했다. 둘째는 씩 웃기만 했다. 이번 런던올림픽 축구 8강전을 둘째와 함께 지켜보지는 못했다. 해서 저녁에 귀가한 아들에게 다시 물었다. 그랬더니 “당연히 한국 응원했지.”라고 답했다. “넌 평소에 영국을 우리 팀이라고 했잖니.”라고 따지듯 말했더니 아들은 “영국에게 이 경기는 별 거 아닌데, 한국에겐 큰 의미가 있잖아.”라고 했다. “진짜 네 마음은 어떤데?”라고 재차 따지니 조금 생각하다 “아무래도 한국이 이긴 게 더 좋은 것 같다.”고 아비가 원하는 답을 해 줬다.

어쩌다 박태환 선수 부모와 누나의 런던 숙소를 주선하게 됐다. 박 선수가 실격한 뒤 판정이 번복되기까지 몇 시간 사이에 아들은 “한국 방송사의 런던 특파원이 박 선수 가족의 거처를 묻는데 어떻게 하느냐.”고 물어 왔다. 당연히 안 된다고 했다. 그 상황에서는 인터뷰를 할 건지 묻는 것만으로도 결례라고 했다.

그러나 아들은 “그건 아버지 입장이고 난 주소를 알면 얘기를 해 줘야 한다.”며 “아버지는 아버지 입장이 있지만 난 나대로 직업적인 입장이 있다.”고 했다. 그러던 참에 다행히도 판정이 번복돼 부자 간의 의를 상할 일은 없게 됐다.

오늘 브라질과의 축구 4강전에서 울적했던 기분은 이탈리아와의 배구 8강전 극적인 승리에 눈 녹듯 사라졌다. 2세트부터 한 번도 리드를 뺏기지 않고 시원하게 이겨 줘서 우리 여자 선수들이 정말 자랑스러웠다. 그런데 한국 응원단이 보이지 않았다. BBC 카메라는 관중석에서 대형 태극기를 광적으로 흔드는 세 남녀를 포착했다. 낯익은 얼굴들이다. 일본인 남편을 둔 미국 국적의 교포 부인, 그리고 조선족 교포 여성. 국적은 모두 제각각이지만 셋은 모두 열심히 한국을 응원하고 있었다. 도대체 올림픽은 뭐고, 또 거기에서 국가란 뭐란 말인가.

런던거주 컨설턴트 johankwon@gmail.com

2012-08-09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