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울리고 웃긴 태극전사 말·말·말

국민 울리고 웃긴 태극전사 말·말·말

입력 2012-08-13 00:00
업데이트 2012-08-13 00:4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오심판정에 운 신아람 “1초가 그렇게 긴 줄 몰랐어요” 사격 신데렐라 김장미 “머리 자르고 싶어요”

지난 16일 동안 밤잠을 설치게 했던 태극전사들의 드라마가 13일 막을 내렸다. 금메달을 목에 걸고 환호하는 선수가 있는가 하면 안타까운 패배로 눈물을 흘린 이들도 있다. 경기 내용만큼 눈과 귀를 즐겁게 한 것은 선수들의 입심 대결. 오심이나 판정 번복에 희생된 선수들은 절절한 멘트로 국민들을 울렸고 세계적인 선수들과 당당히 겨뤄 영광을 안은 선수들은 재치 넘치는 발언으로 국민들에게 웃음을 선사했다.

●“현주의 끊임없는 노력이 기적을 일으킬 것이다”

지난달 30일 여자 양궁 단체전 결승에서 중국을 210-209로 꺾은 뒤 최현주가 공개한 좌우명. “나는 성적이 좋은 선수도 아니고 타이틀도 하나도 없다.”던 최현주는 좌우명대로 금메달을 목에 걸고 한국 양궁의 자존심을 지켰다.

●“기쁨의 눈물 맞아요”

여자 양궁 단체전에 이어 지난 2일 개인전에서도 슛오프 접전 끝에 금메달을 차지한 기보배가 기자회견 도중 눈물을 보이며 비친 얘기. 기보배는 남자 양궁 개인전 금메달을 딴 오진혁과 연인 사이임을 밝히는 대담함(?)을 연출하기도 했다.

●“머리 자르고 싶어요”

지난 1일 여자 사격 25m 권총에서 금메달을 따며 ‘신데렐라’로 떠오른 김장미가 소감이라며 밝힌 엉뚱한 대답. 김장미는 새로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시상대에 서려고 했는데 예약 시간에 늦어 못 했다며 신세대다운 발랄함을 선보였다.

●“내 몸이 깃털처럼 움직이는 것을 느꼈습니다”

체조 남자 도마에서 ‘양학선’이란 독보적인 기술로 한국체조 사상 첫 올림픽 금메달을 안긴 양학선이 6일 시상대에 오른 뒤 세계 최고가 된 소감을 한마디로 정리했다.

●“결승전이 가장 쉬웠어요”

11일 여자 태권도 67㎏급 결승에서 누르 타타르(터키)를 꺾고 한국 태권도 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2연패를 이룬 황경선이 “날아갈 것 같아요.”라고 입을 뗀 뒤 밝힌 자신감 넘치는 발언. 황경선은 오히려 루스 그바그비(코트디부아르)와의 16강전을 가장 어려운 순간으로 꼽았다.

●“1초가 그렇게 긴 줄 몰랐어요”

지난달 30일 펜싱 여자 에페 준결승에서 희대의 오심으로 브리타 하이데만(독일)에게 패한 신아람이 경기 직후 눈물을 쏟아내며 밝힌 소감. 이후 국제펜싱연맹(FIE)은 신아람에게 특별상을 수여하겠다는 ‘병 주고 약 주는’ 대응을 했지만 논란은 사그라지지 않았다.

●“올림픽 메달만으로도 만족합니다”

온 국민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런던 정복에 나섰던 박태환이 지난달 30일 수영 남자 자유형 200m에서 1분44초93으로 쑨양(중국)과 공동 은메달을 수상한 뒤 만족감을 표했다. 금메달을 따지 못해 아쉬울 법도 했지만 “세계적인 선수인 쑨양과 함께 시상대에 올라가는 것만으로도 좋다.”며 의젓한 모습을 보여 박수를 받았다.

●“최선을 다했으니 후회는 없습니다”

여자 역도의 전설 장미란이 10일 올림픽 일정을 마치고 인천공항에 귀국한 뒤 밝힌 소감. 부상을 딛고 4위를 기록한 장미란은 사실상 마지막 올림픽에서 2연패의 꿈을 달성하지 못했지만 당당한 모습으로 큰 박수를 받았다.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2012-08-13 16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