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 먹은 러시아 선수들 리우서 여전히 활개칠 것”

“약물 먹은 러시아 선수들 리우서 여전히 활개칠 것”

임병선 기자
입력 2016-07-27 22:42
업데이트 2016-07-28 00: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도핑 제보 스테파노바·비탈리 “당장 고국 돌아갈 생각 없다”

“리우데자네이루올림픽에서 여전히 약물을 사용하는 러시아 선수들이 뛰게 될 겁니다.”

러시아의 조직적인 도핑(금지약물 복용)을 처음 제보해 세계반도핑기구(WADA)의 대대적 조사와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러시아 선수단 전체의 출전을 막는 것을 법률적으로 검토하게 만든 율리아 스테파노바와 남편 비탈리가 27일 영국 BBC에 입을 열었다.

러시아 육상 여자 800m 선수인 율리아는 러시아반도핑기구(RUSADA) 간부였던 남편과 함께 결정적인 증거를 제보했다는 이유로 중립국 선수 자격으로 리우에 출전할 수 있다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의 결정을 받았지만 IOC는 2014년 도핑에 걸려 출전 정지 징계를 당했다는 이유로 출전을 막았다.

 2013년 독일 다큐멘터리 제작진에게 핵심 증거를 넘기고 아내와 함께 미국으로 건너가 숨어 지내온 비탈리는 “불행히도 우리의 행동에 대한 조국의 반응은 긍정적이지 않았다”며 “많은 러시아인과 선수들이 우리가 한 짓을 미워했고 이에 따라 안전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 당장 고국에 돌아갈 생각이 없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IOC는 먼저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지닌 나라에서 행해지는 체계적인 도핑을 벌할 생각이 없다는 것을 분명히 했고, 둘째로 깨끗한 선수들 대다수를 보호하기보다 러시아의 깨끗한 선수들을 보호하는 데 급급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비탈리는 또 아내가 도핑을 저지른 데 대해 “그 나라 대표팀에 속한다면 정말 도리가 없다. 그녀는 징계를 모두 이수했다. 과거의 일로 징계를 받았는데 또 이중 처벌을 받으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라고 덧붙였다.

 “타국을 전전하고 율리야는 올림픽 출전도 못한다. 폭로할 만한 가치가 있다고 지금도 믿느냐”는 질문에 “이득을 조금이라도 누릴 생각이었다면 그렇게 하지 않았다. 옳다고 느꼈기 때문에 했을 뿐”이라고 답했다. 이어 “이제 아들에게 모범이 되기를 원하기 때문에 이런 실수들을 했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사람들에게 우리의 실수에 대해 얘기하며 더 나은 사람이 되겠다고 생각하고 노력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영국 BBC 캡처
영국 BBC 캡처
다음은 율리야-비탈리 부부와 영국 BBC 인터뷰 일문일답. 대부분 비탈리가 답했고, 영어가 서투른 율리야의 답변을 비탈리가 직접 영어로 옮기며 진행됐다.
 
 →러시아 선수단의 리우 출전 금지가 불발된 데 대한 반응부터 말한다면.
 -국가가 지원하는 도핑과 불행히도 우리 조국에서 일어났던 일들에 대해 더 강력한 반응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또 조국의 시스템을 그렇게 잘못 만든 부패한 스포츠계 간부들을 보호하는 핑계로 이용돼선 안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불행히도 조국에서는 그런 일이 일어났고 IOC는 러시아뿐만아니라 세계 다른 지역에도 영향을 미치는 이 나라의 사기 시스템을 구축하고 운영한 이들에게 OK 사인을 보낸 것처럼 느껴진다.
 
 →리우에 출전할 수 없어서 얼마나 어려움을 겪는가.
 -[율리야] IOC 위원회와 인터뷰를 가지면서부터 그들이 마음 속에 결정을 내렸고 내가 리우에 출전하지 못하게 하려는 데 진술을 이용하려 한다는 점을 느꼈다.
 
 →왜 그런 폭로를 해야겠다고 결심하게 됐는지 설명해달라.
 -2008년 초 RUSADA에 부임하면서 난 깨끗한 선수들이 깨끗하게 경쟁할 수 있도록 돕는 멋진 일을 한다고 생각했다. 그게 내 목표였고, 내가 하고 싶었고, 내가 했던 일이었다. 그러나 러시아 시스템 안에서 싸우길 원하는 사람이 그리 많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되자 난 ‘이런 사람들과 거꾸로 가야 하는가’ 고민해야 했다. 마침내 고민을 끝내고 ‘그래 도움을 청해보자’라고 결심하고 2010년 초 WADA 간부에게 ‘러시아에 아주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말하기에 이르렀다.
 
 →어떤 반응이 있었나? 정부당국에는 얘기를 했던가?
 -RUSADA에서 일하면서 늘 우리는 WADA 규정대로 움직이지 않았다. 그것이 서로 맞지 않아서가 아니라 우리가 원치 않는다는 이유에서였다. 우리는 러시아 선수들이 메달을 따도록 돕기를 원했기 때문에 WADA 규정을 따르지 않았다. 그건 사기로 메달을 따는 것이라면 메달을 따지 않는 게 낫다는 내 신념과 배치되는 일이었다.
 
 →일상적으로 당신을 충격에 빠뜨린 일이 있다면 설명해달라.
 -RUSADA에서 일할 때 교육 프로그램과 샘플을 모으는 일을 책임졌다. 실험실은 샘플을 테스트할 책임이 있었다. 둘은 독립적으로 움직였어야 한다. 난 결코 실험실에서 일하지 않았다. 그들(실험실에서 일하는)은 그래야 했지만 그렇지 않았다. 그들은 서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알고 있었다. 난 종목단체 간부가 도핑 컨트롤을 피하려고 애쓰고, 도핑 검사를 실시하지 않아야 하는 특정 종목 목록이 돌고, 특정 시기에 검사를 받으면 안되는 선수 명단이 도는 것을 목격한 적이 있다.
 
 →엄청난 위험을 감수했다. 안전에 대해 매우 유의해야 할 것 같은데.
 -WADA는 처음부터 우리의 안전을 걱정했고, 우리가 갖고 있는 정보들로 우리를 보호하려고 애를 쓴 사람들이다. 실제로 난 그 위험을 감수하려고 하고 있다. 내가 도핑과 싸우겠다고 마음먹은 순간부터 같은 생각이었다.
 
 →그런 엄청난 일을 할 만큼 든든한 지지를 받는다고 느끼는지.
 -처음에는 쉽지 않았지만 시간이 갈수록 많은 이들이 우리를 믿고 우리의 의도를 이해하기 때문에 개인적 차원에서라도 응원해주고 있다. 당장 IAAF와 유럽육상연맹은 아내를 지지하고 아내가 우리가 조금 더 투명해지길 바라는 대회에 아내가 선수로 다시 뛸 수 있도록 돕고 있다.
 
 →율리야 역시 도핑 시스템에 가담했다. 다른 도리가 없었나?
 -당신이 그 나라 대표팀의 일원이 되기를 원한다면 정말 선택의 여지가 없다. 국제대회에 출전하고 싶다면 간부와 코치들이 제공하는 것, 도핑을 시행하는 것이 유일한 방법이다. 더 큰 그림으로 선택권이 있느냐고요? 그래요, 있다면 시스템을 따르거나 떠나는 것이다. 어린 선수로 당신은 코치가 누구나 다 도핑을 한다고 얘기하는 것을 들어 러시아뿐만아니라 전 세계 모든 선수들이 그런 줄 알고 모든 나라가 (러시아와 똑같은) 시스템을 갖고 있는 줄 알게 된다. 그러나 다른 선택권이 있다면 ”코치님 못 믿겠어요. 전 올림픽에 출전하는 선수가 될 꿈이 없어요. 이 운동 그만 둘래요‘라고 말할 수는 있다. 그러나 대다수는 (자신이 선택한) 종목에서 뭔가 굵직한 업적을 남기고 싶어한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이 시스템을 믿고 따르는 것 외에 다른 여지가 없다.
 
→다른 러시아 선수도 율리야가 잘못을 저지르지 않았다면 올림픽 출전이 불발되는 처벌을 받지 않았을 것이라고 얘기할 수 있을 것 같다.
 -네. 다시 다른 러시아 선수들에게도 일어나는 러시아의 체계적인 도핑과 은폐 얘기로 돌아오네요. 이런 관점에서 우리는 열심히 폭로하고 다른 이들, 러시아 스포츠 지도자들은 열심히 은폐하기 때문에 애초에 불공정하다는 것이다. 그들(도핑에 쩔은 러시아 선수들)은 깨끗한 선수로 간주돼 대회에 나서게 되는 것이다.
 
 →얼마나 많은 러시아의 ’약물 사기꾼‘들이 리우올림픽에 출전할 것이라고 생각하는가?
 -잘 모르겠다.
 
 →리우에서도 약물 속임수가 있을까?
 -[율리야] 그럴 것 같다. (맥라렌) 보고서대로라면 하계올림픽에만 20개 종목에서 약물 관련자들이 있다는 것이다. 이런 은폐의 시스템에서는 따라서 약물을 복용하는 러시아 선수들이 여전히 리우올림픽에서 뛰게 될 것이라고 본다. 
 →IOC는 (율리야의 출전을 막는 대신 도핑 위험을 고발한 공로로) 올림픽 대회에 참석해달라고 초청했는데?
 -어제 우리 성명을 봤는지 모르겠다. 안 봤다면 우리는 특혜를 청한 적이 없으며, 율리야와 관련한 결정을 내릴 때 공정하게 결정해달라고 요청한 것이다. 어려운 대목은 IOC 윤리위원회가 율리야가 내부고발자가 된 이유에 관해 진실되지 않은 진술에 근거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들이 진실을 말하지 않는다는 것이 어려운 대목이다.
 
 →앞으로 더 많은 이들이 당신들처럼 (도핑) 정보를 갖고 앞으로 나서게 될까, 아니면 더욱 주저하게 될 것 같은가?
 -다시 개인적인 견해를 얘기하자면 문제는 내부제보자에 관한 게 아니다. 문제는 스포츠 기구 간부들이 룰을 만들 생각만 하지, 지킬 필요를 느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들은 문제를 덮고 변형시키고 모든 게 괜찮다고 말한다. 그 다음에는 텔레비전에 나가 쇼같은 일을 벌인다. 이 간부들이 고도로 윤리적이라면 내부제보자가 필요없게 될 것이기 때문에 스포츠는 점점 더 진면목을 드러내게 되겠지만 심지어 IOC 간부조차 뭔가 감출 것이 있고 미래에도 내부제보자 따위는 필요 없는 것처럼 행동한다는 게 문제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과 관계 때문에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이 러시아 선수단의 출전을 통째 막지 않은 걸까?
 -그들이 어떤 관계인지 알지 못한다. 증거도 없다. 그러나 IOC는 이 모든 일의 처음부터 세계에서 가장 큰 영토를 거느린 나라의 체계적인 도핑 프로그램을 처벌할 생각이 없음을 보여줬다. 그리고 두 번째로 전 세계 많은 깨끗한 선수들을 보호하기보다 그들은 러시아의 깨끗한 선수들을 보호하는 데 더 관심 있었다. 그리고 큰 그림을 보자면 러시아에서보다 전 세계에 깨끗한 선수들이 더 많다. 그래서 난 러시아의 깨끗한 선수 공동체보다 전 세계 깨끗한 선수들 편에 서는 게 옳다고 느끼고 있다.

임병선 선임기자 bsnim@seoul.co.kr
2016-07-28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