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세계육상 D-3] 각국 선수단 입국 러시… 조직위 비상

[대구세계육상 D-3] 각국 선수단 입국 러시… 조직위 비상

입력 2011-08-24 00:00
업데이트 2011-08-24 0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4일간 2000여명 입성할 듯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 개막을 나흘 앞둔 23일부터 각국 선수단의 본격적인 입국 행렬이 이어지면서 대회조직위원회가 비상체제에 들어갔다. 조직위는 대회 개막을 하루 앞둔 26일까지 4일간 선수만 1000여명, 임원을 합치면 2000여명이 대구에 입성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는 전체 선수단 3550명의 50%를 넘는 인원이다. 남자 800m 세계기록(1분 41초 01) 보유자인 다비드 레쿠타 루디샤(23)를 비롯한 케냐 선수 46명이 23일 입국하는 등 이날 하루 동안에만 선수와 임원을 합쳐 가장 많은 753명이 선수촌에 여장을 푼다.

아직 구체적인 입국 일정을 밝히지 않은 여자 장대높이뛰기의 지존 옐레나 이신바예바(29·러시아)와 허벅지 통증에도 출전을 강행한 여자 높이뛰기 세계 챔피언 블랑카 블라시치(28·크로아티아)도 곧 대구에 들어올 것으로 보인다.

2년 전 베를린 세계대회에서 충격적인 3회 연속 실패의 아픔을 딛고 이번 대회에서 명예회복을 벼르는 이신바예바는 러시아에서 훈련해 왔다.

여자 장대높이뛰기 예선은 28일 오전 9시 30분, 결승은 30일 오후 7시 5분에 열리기 때문에 이신바예바가 적응훈련을 하려면 개막 전에 한국에 들어와야 한다. 여자 높이뛰기 예선과 결승은 대회 후반부인 9월 1일과 3일 열려 블라시치에게는 약간의 시간적 여유가 있다. 지난 16일 대구에 도착한 후 그랜드호텔에 머물며 훈련을 해 온 ‘지구에서 가장 빠른 사나이’ 우사인 볼트(25·자메이카)는 이날 오후 팀 동료와 함께 선수촌에 들어갔다.

대구 한찬규기자 cghan@seoul.co.kr
2011-08-24 2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