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축구 ‘제3의 클럽대항전’ 생긴다

유럽축구 ‘제3의 클럽대항전’ 생긴다

심현희 기자
입력 2018-12-03 22:48
업데이트 2018-12-04 00: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UEFA 2021년 가칭 ‘유로파리그2’ 출범

유로파 진출 못한 중하위 32개 팀 대결
우승팀, 이듬해 유로파리그 출전권 부여

유럽축구연맹(UEFA) 챔피언스리그와 유로파리그에 이은 제3의 클럽대항전이 생긴다. 최상위~중상위 클럽만이 나갈 수 있었던 기존 리그와 달리 새 리그는 유럽의 중하위권 클럽끼리 겨루는 무대여서 나라별 리그 전체 수준을 가늠할 기회가 될 전망이다.

UEFA는 2021년부터 모두 32개 팀이 겨루는 ‘유로파리그2’(가칭)를 운영한다고 3일 밝혔다. 유로파리그2는 유럽 최상위 클럽 대항전인 챔피언스리그와 그 아래 팀들이 겨루는 유로파리그 다음의 하위 대회로 치러진다.

챔스리그는 각 리그의 정규리그 우승팀을 비롯한 상위권 팀들이 진출권을 획득하고 유로파리그는 챔피언스리그 진출권의 아래 순위를 기록한 팀들과 챔피언스리그 예선 플레이오프에서 떨어진 팀들이 참가한다. 새 리그에선 유로파리그 진출권을 따내지 못한 중하위권 순위 팀들이 대결을 펼치게 된다.

유로파리그2의 우승팀은 이듬해 유로파리그 출전 자격을 얻게 된다. 대신 유로파리그의 출전팀이 현행 48개에서 32개로 줄어 세 대회 모두 32개 팀이 나선다. 형식은 유로파리그와 같다. 목요일 경기가 열리고 4개 팀씩 8개 조가 조별리그를 치른 뒤 16강에 오른다.

새 리그에선 유럽 각 리그의 ‘평균적 수준’이 드러날 것으로 기대된다. 한준희 KBS 해설위원은 “스페인이 UEFA 랭킹에서 10년째 1위를 지키고 있는 건 최상위권 클럽들의 무대인 챔스리그를 프리메라리가의 레알 마드리드, FC바르셀로나가 오래 양분했고 유로파리그는 아틀레티코 마드리드가 잡고 있기 때문”이라면서 “새 리그 우승팀이 라리가가 아닌 다른 리그에서 나온다면 평균적인 힘이 가장 강한 리그가 어디인지 알 수 있게 된다는 것이 가장 흥미로운 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위권 팀들에도 강한 동기부여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하위권 팀일수록 선수층이 얇다는 점이 부작용이 될 수 있다. 최상위 클럽들도 힘들어하는, 정규리그와의 병행 스케줄을 소화할 만한 클럽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전 세계에서 가장 인기가 많고 부유한 잉글랜드프리미어리그(EPL)에는 새 리그가 오히려 ‘시험대’가 될 수 있다. 한 위원은 “맨체스터시티가 대규모 투자로 강팀이 됐지만, 유럽을 제패하진 못하고 있지 않으냐”면서 “전반적으로 타 리그에 비해 자본력이 강한 EPL이 이 리그에서도 우승을 하지 못하면 헛돈을 쓰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며 반대로 좋은 결과를 낸다면 그래도 EPL이 ‘돈의 효과’로 리그 전체가 상향 평준화됐음을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현희 기자 macduck@seoul.co.kr
2018-12-04 26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