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구단 부산 고군분투 시민구단 뚫고 올라갈까

기업구단 부산 고군분투 시민구단 뚫고 올라갈까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19-11-26 22:20
업데이트 2019-11-27 01: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피말리는 승강제 속 K리그1 복귀 노려…30일 안양과 PO 1차전이 첫 고비 될 듯

이미지 확대
시민구단과 기업구단 가운데 마지막에 웃을 자는 누구일까.

승격과 강등을 둘러싸고 한 치 앞을 알 수 없게 전개되는 경쟁이 막바지로 치닫고 있다. 26일 현재 K리그1(1부리그)과 K리그2(2부리그)에서 승격·강등에 연루된 팀은 모두 4개. 이 가운데 인천 유나이티드와 경남 FC, FC 안양은 시민구단이고 부산 아이파크는 기업구단이다.

제주 유나이티드는 K리그1 꼴찌로 강등이 확정되면서 K리그2로 추락한 세 번째 기업구단으로 이름을 올렸다. 공교롭게도 2015시즌에 처음으로 K리그로 강등됐던 기업구단인 부산 아이파크가 다음 시즌 K리그1 복귀를 노리고 있다.

하지만 일정은 녹록지 않다. 첫 관문은 오는 30일 부산 구덕운동장에서 안양과 만나는 플레이오프 1차전이다. 이 경기에서 이긴 다음에는 K리그1 11위 팀과 12월 5일, 8일 두 차례 승강플레이오프를 치러야 한다. K리그1 11위팀은 30일 시민구단끼리 맞붙는 경남과 인천 경기를 통해 가려질 예정이다.

시민구단 틈바구니에서 기업구단이 고군분투하는 건 K리그에서 승강제가 자리잡을 당시만 해도 상상하기 쉽지 않았던 모양새다. 당시만 해도 기업 지원으로 무장한 기업구단에 비해 재정이 열악한 시민구단들이 K리그1에서 생존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거라며 기업구단과 시민구단의 양극화를 염려하는 목소리가 많았다. 실제 2013년 대구 FC와 대전 시티즌, 2014년 상주 상무처럼 시민구단이나 군에서 운영하는 팀이 강등됐다. 하지만 강등제가 자리를 잡으면서 전혀 다른 양상이 벌어지기 시작했다.

그 첫 단추가 바로 2015년 정몽규 대한축구협회장이 구단주인 부산이 강등된 일이었다. 심지어 2018년에는 포스코를 모기업으로 하는 전남 드래곤즈가 강등되고 GS를 모기업으로 하는 FC 서울은 11위로 승강플레이오프까지 치르며 강등 직전까지 가는 수모를 당했다. K리그 소속 팀들의 성적이 상향 평준화된 데다 기업구단 역시 지원이 예전 같지 않으면서 어느 팀이라도 강등 악몽을 피할 수 업게 된 셈이다. SK가 모기업인 제주 강등은 그 정점이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19-11-27 3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