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널 내 교통사고 치사율 일반사고 2.3배…“매년 1380명 사상”

터널 내 교통사고 치사율 일반사고 2.3배…“매년 1380명 사상”

오세진 기자
입력 2016-09-06 11:05
업데이트 2016-09-06 14: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지난달 14일 전남 여수시 만흥동 마래터널 안에서 시멘트 운반 트레일러 운전자의 졸음운전으로 발생한 10중 추돌 사고 현장. 연합뉴스
지난달 14일 전남 여수시 만흥동 마래터널 안에서 시멘트 운반 트레일러 운전자의 졸음운전으로 발생한 10중 추돌 사고 현장. 연합뉴스


터널에서 발생하는 교통사고의 치사율이 일반 교통사고의 2.3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안호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터널 교통사고 현황’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최근 5년간 터널에서 발생한 사고는 총 2957건으로 집계됐다고 연합뉴스는 보도했다.

이 사고로 총 150명이 숨졌고 6753명이 다쳤다. 연간 단위로 환산하면 매년 터널 교통사고로 30명이 사망하고 1350명이 부상하는 셈이다.

최근 5년간 사고 100건당 사망자 수인 ‘치사율’은 터널 사고의 경우 5.07%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일반 교통사고 치사율인 2.25%의 2.3배에 해당한다.

이렇게 터널 교통사고 위험이 큰데도 터널 상당수가 필수 재난안전설비조차 제대로 갖추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도로터널 방재시설 설치 및 관리지침’(국토부 예규)에 따르면 터널 길이와 터널별 화재 위험도를 고려해 필요한 방재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예를 들어 길이 500m 이상인 터널은 피난연결통로를 갖춰야 하고, 위험도가 3등급 이상인 터널은 사고 발생 시 2차 사고 예방을 위해 필요한 비상방송설비를 구비해야 한다.

그러나 안 의원이 국토부로부터 제출받은 ‘터널 재난안전설비 관련 터널별 구비 현황’ 자료를 보면 전국 고속도로 터널 236개소 중 86개소, 국도 터널 278개소 중 133개소에 필수 재난안전설비인 피난연결통로가 없었다. 비상방송설비도 전국 고속도로 192개소 중 27개소,국도 231개소 중 40개소 터널에 마련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안 의원은 “터널 사고는 대피 장소가 제한적이고 뒤에서 오는 차들이 앞의 상황을 파악하기 힘들기 때문에 사망 등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면서 “그런데도 재난안전설비가 제대로 갖춰지지 않은 것은 국민 안전을 위협하는 심각한 문제”라고 말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