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으로 처음으로 2016년 영국 최고권위의 문학상 ‘맨부커상’과 2023년 프랑스 4대 문학상 중 하나인 ‘메디치 외국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한강. 연합뉴스
그는 신춘문예 당선소감에서 “아파서 쓴 것인지, 씀으로 해서 아팠는지는 알 수 없다. 그저 아프면서 썼다. 밤은 아득하여 끝이 보이지 않았다. 하나 새벽은 늘 여지없었다. 어둠의 여지없음만큼이나 지독한 힘이었다”고 회고했다. 또 “무릎이 꺾인다 해도 그 꺾이는 무릎으로 다시 한 발자국 내딛는 용기를 이제부터 배워야 하리라”라고 다짐했다. 무릎이 꺾이는 순간마다 새벽의 힘을 믿고 한 발자국 내딛는 용기로 그만의 작품 세계를 구축한 결과 전 세계가 주목하는 작가가 됐다.
소설가 한강의 등용문이었던 서울신문 신춘문예 역사는 100년을 거슬러 올라간다. 서울신문의 전신인 매일신보는 1919년 8월 ‘소설작품 현상모집’을 국내 최초로 실시했다. 이것은 이후 국내 유력지들이 채택한 신춘문예의 효시가 됐다. 당시 소설작품 현상금은 1등 150원, 2등 100원, 3등 50원이었다.
나태주 시인. 서울신문 DB
이렇게 첫발을 뗀 서울신문 신춘문예는 6∙25 전쟁 직후인 1951년부터 5년 동안 중단됐다가 소설가 이제하를 배출한 1956년 부활해 수십년간 한국문학을 살찌운 문단의 산실로 굳건히 자리잡았다. 서울신문은 최근까지 소설가 한강·편혜영·임철우·하성란, 시인 나태주·이근배·박세미, 문학평론가 하응백·유성호 등 걸출한 인물들을 배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