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꿀단지’ 하이닉스 왜 안 팔릴까

‘꿀단지’ 하이닉스 왜 안 팔릴까

입력 2010-02-12 00:00
업데이트 2010-0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반도체시장 경기굴곡 커 침체기엔 애물단지로

D램 메모리 부문 세계 2위인 하이닉스반도체의 새 주인 찾기가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하이닉스 채권단이 정한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일을 하루 남겨둔 11일까지 의향서를 낸 기업이 없었다.

이미지 확대
하이닉스 채권단은 지난달 29일 인수의향서 제출 마감을 12일까지로 연장했다. 그러면서 “기업들이 신년 경영계획 수립에 바쁜 연초여서 인수 의향이 있어도 충분한 검토시간을 갖지 못했을 것”이라며 애써 초연한 모습을 보였다. 시장에서는 “설 전까지 중대 결정을 할 기업이 있다.”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하지만 LG, GS, 한화 등 인수가능성이 거론된 기업들이 연달아 “관심 없다.”고 공시하면서 하이닉스 재매각은 전혀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인수의향서 제출 기업 전무

하이닉스는 지난해 3·4분기 기준 D램 반도체 분야 세계시장 점유율이 21.6%로 삼성전자(34.7%)에 이어 2위다. 한번 호황기를 맞으면 전 세계에서 돈을 갈퀴로 긁어 모으듯 쓸어 담곤 한다.

그런데 왜 안 팔리는 것일까. 가장 큰 이유는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특성 때문이다. 구조적으로 반도체 시장은 경기의 굴곡이 지나칠 정도로 크다. 이는 보통 4년 주기로 바뀌는데 경기가 호황일 때는 반도체 회사가 꿀단지이지만 침체기로 접어들면 이 꿀단지가 애물단지로 변한다.

유지비 등 투자비용이 많이 드는 것도 부담이다. 불황이라도 연간 1조원 이상을 시설과 연구지원 등에 쏟아 부어야 하는 것이 업계의 정설이다.

모든 점을 고려해 채권단 내부에선 ‘블록세일’을 염두에 두고 있다. 매각 제한이 걸려 있는 28.07% 지분 가운데 경영권 유지를 위한 지분 15% 정도를 제외한 나머지는 모두 쪼개서 시장에 팔겠다는 것이다.

●블록세일은 정부가 말린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정부가 블록세일을 싫어해 채권단을 말리고 있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반도체 사업은 국가적인 산업이어서 한번 매각이 잘못되면 안 파느니만 못한 결과가 나오기 때문이다. 지분을 쪼개서 파는 블록세일은 정부가 용인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하이닉스 지분을 블록세일하면 외국업체들이 경영권을 노릴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도 업계 일각에서 조심스럽게 제기된다.”면서 “실제 정부도 탐탁하게 여기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귀띔했다.

유영규 김민희기자 whoami@seoul.co.kr
2010-02-1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