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인문학에 빠진 까닭은?

건설사 인문학에 빠진 까닭은?

입력 2010-02-22 00:00
업데이트 2010-02-2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나 자신을 아는 것이 부처가 되는 것보다 중요합니다.” 지난 17일 오전 8시30분. 서울 계동 현대건설 지하 2층 대강당에서는 ‘불교사상-깨침과 깨우침’이란 주제의 강의가 시작됐다. 강사는 윤원철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청중은 올 1월 입사한 현대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등 4개사 신입직원 272명이었다.

“단 5분이라도 한 곳만 집중하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입니까. 내 자신의 의식을 주인으로서 컨트롤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결코 나는 내 정신의 주인이 아니라는 얘기입니다.”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을 묻는 것은 내가 추구해야 하는 진리가 무엇인가에 대한 물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확대
신입사원들은 건설업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인문학 강의에 고개를 갸우뚱 하면서도 달마의 선종, 선문답 등 생소한 강의에 점점 빠져들었다. 이들은 입사 전까지 윤 교수의 종교학 강의를 한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고 했다. 대부분 이공계 출신이기 때문에 인문학을 접할 기회가 거의 없었던 것.

신입사원 서문규(28)씨는 “이틀 정도 합숙 뒤 곧바로 영업 현장에 투입되는 다른 건설사와 달리 인문학을 배운다고 했을 때 다들 놀랐다.”고 말했다.

현대건설 신입사원들이 전공과 무관한 인문학 강의를 듣게 된 것은 “인문학이 모든 것의 근본”이라는 김중겸 사장의 지론 때문이다. 건설회사는 단순 토목 건설을 하는 데 그치지 말고, 사람을 생각하는 건축문화를 창조해 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이번 신입사원 교육도 김 사장이 서울대 인문대학원에서 최고경영자(CEO) 과정을 듣고 감명받아 신입사원 눈높이에 맞춰 프로그램을 재구성해 달라고 요청해 이뤄졌다.

현대건설의 기존 사원들 사이에서도 ‘인문학 열풍’이 일고 있다. 월례조회 때 인문학 강의를 여는가 하면, 직원들 사이에서 심리학이나 역사 관련 책을 읽는 게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신입사원 강의에도 일반 직원들이 여럿 참석했다. 환경토목본부의 한 중간간부는 “사마천의 사기를 읽고 중국 역사에 관심을 갖게 됐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강의여서 일을 잠시 미룬 채 강의를 들으러 왔다.”고 말했다.

인문학 바람은 다른 건설업체에서도 조금씩 불고 있다. GS건설은 과장·차장급 재교육 과정인 ‘디자인 전문과정’에 미술, 디자인, 건축 커리큘럼을 포함시켰다. 인문학자의 강의를 듣고 창조적인 아이디어를 많이 내라는 뜻이다.

우림건설은 최근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를 초청해 ‘로마인 이야기를 통해서 본 리더십’이라는 강의를 열었다. 강의에는 직원은 물론 주변 직장인 150여명이 몰려 성황을 이뤘다. 이 회사는 사내 강의에 도종환·안도현 시인, 백기완 통일문제연구소 소장 등을 초빙해 지속적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쌓아왔다. 우림건설 관계자는 “딱딱한 건설회사일수록 문학적인 소양과 접근이 더 필요한 것 같다.”고 말했다.

윤설영기자 snow0@seoul.co.kr

2010-02-22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