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생필품값 10개 중 7개 오르고… 서민들 ㅠㅠ

지난달 생필품값 10개 중 7개 오르고… 서민들 ㅠㅠ

입력 2011-02-14 00:00
업데이트 2011-02-14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탕 등 생활필수품의 가격이 크게 올랐고, 냉해로 ‘배추 대란’도 우려되고 있다. 정부의 고강도 물가 압박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생활필수품 10개 중 7개의 가격이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이미지 확대
13일 기획재정부와 한국소비자원 T-Gate(가격정보 사이트)에 따르면 지난달 생필품 80개 품목 중 53개(66.3%)의 가격이 전월보다 올랐으며, 24개(30.0%)는 내리고 2개(2.5%)는 변동이 없었다. 지난해 10월 80개 생필품 품목 가운데 48개, 11월 31개, 12월 37개의 가격이 인상된 것과 비교하면 지난달 생필품 가격 상승세가 컸던 셈이다.

전월 대비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품목은 시리얼(12.1%)이었다. 설탕(11.8%)과 고무장갑(9.0%), 일반 면도날(8.4%), 새우깡(8.3%), 두부(8.0%), 세탁세제(7.8%), 마요네즈(6.3%), 분유·커피(5.4%)가 뒤따랐다. 반면 식용유(-3.7%)와 녹차류(-2.7%), 어묵(-2.3%) 등은 가격이 내렸다. 80개 생필품 품목에 속하는 241개 상품의 평균 단위가격을 비교했을 경우 지난달 설탕 ‘정백당 1㎏’(대한제당)의 100g 가격이 전월 대비 25.2% 올라 가격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배춧값도 심상찮다. 해남 겨울 배추가 냉해로 생산량이 20% 줄면서 가격이 큰 폭으로 뛰고 있다. 배추 한 포기 가격은 지난해 12월 중순 2000원대까지 떨어졌던 것이 현재는 5000원대를 기록할 정도로 폭등했다. 봄 배추가 나오는 5월까지 제2의 배추 대란이 우려되고 있다.

이경주·해남 최종필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2-14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