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걸리 항암성분 맥주·와인 최대 25배…“흔들어 마시는 것이 좋아”

막걸리 항암성분 맥주·와인 최대 25배…“흔들어 마시는 것이 좋아”

입력 2011-04-14 00:00
업데이트 2011-04-14 08: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막걸리에 항암물질 성분이 맥주나 와인보다 최대 25배 많이 들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1주일에 이틀 정도, 한 번에 3~4잔의 막걸리를 마시면 항암효과를 볼 수 있다.

 한국식품연구원 식품분석센터 하재호 박사 연구팀은 14일 막걸리에서 항암물질인 파네졸 성분을 세계 최초로 발견했다고 밝혔다. 파네졸은 과실주의 중요한 향기 성분으로 약 5~7mg/ℓ정도의 미량으로도 항암 항종양 성질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다.

이미지 확대


 연구팀이 시판 중인 주류의 파네졸 함량을 분석한 결과 막걸리의 파네졸 성분은 와인이나 맥주(15~20 ppb.1ppb는 10억분의1)보다 10~25배 더 많은 150~500ppb에 이르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 박사는 “1주일에 이틀 정도, 한 번에 3~4잔의 막걸리를 마시면 실질적인 항암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 박사는 “실험 결과 막걸리의 혼탁한 부분에 파네졸이 더 많이 들어있음을 확인했다.”면서 “막걸리를 마실 때는 잘 흔들어 가라앉은 부분도 함께 마시는 것이 건강에 훨씬 더 좋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터넷서울신문 event@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